earticle

논문검색

PR커뮤니케이션의 공익성 개념 적용을 통한 사회적 역할 논의 : 삼성, SK, LG, 현대자동차 그룹의 공익성, 조직 공중 관계성, 기업 명성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For Social Rol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Public Interest in PR Communication : Focusing on the Public Interest, Organization Public Relations, and Corporate Reputation of Samsung, SK, LG, and Hyundai Motor Group

박혜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urther solidify the social role of PR communication by focusing on the conceptualization of public interest in PR communication. In this study, public interest of general companies were compared by applying the previously studied conceptualization of public interest and the developed scale. It was attempted to deriv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social role of PR communication by predict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interest, organization public relations, and the corporate reput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mpanies recognized by the general public as engaging in public interest activities were in order of LG, Samsung, SK, and Hyundai Motor, but Samsung was the lowest among the four companies. LG was found to have a higher than Samsung and SK, and it was also higher than Samsung in three dimensions of organization public relations and corporate reputa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hree models a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predic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ree variables. which is a causal relationship in the order of organization public relations – public interest - corporate reputation, is this data was found to be most suitable for. As a conceptual and empirical study, this study can appear through the process and results of PR communication, and compares it with organization public relations and corporate reputation, which are major variables in PR studies, and discusses the correlation and causality between them.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일반 기업의 PR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통한 공익성을 알아보고, 공익성· 조직 공중 관계성·기업 명성의 변수 간 인과관계에 대한 가장 적합한 모델을 추정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 공중들은 공익적 활동을 하는 기업으로 LG, 삼성, SK, 현대자동차 순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R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통한 공익성은 네 개 기업 중 삼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LG는 삼성, SK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 공중 관계성의 3개 차원, 기업 명성에서도 삼성 보다 평균이 높았다. 또한, 공익성·조직 공중 관계성·기업 명성의 변수 간 인과관계를 추정하기 위해 3개 모델링을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한 결과, 조직 공중 관계성 – 공익성 – 기업 명성 순의 인과관 계인 <모형 2>가 자료에 가장 부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익성의 조직 공중 관계성과 기업 명성에 대한 매개적 역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는 PR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통해 조직과 공중 간 관계성이 형성되면, 조직과 공중 간 관계성은 결국은 조직과 공중들 간의 상호 이익, 즉 공익을 발생시키게 됨을 의미하며, 조직과 공중들 간의 상호 이익적 활동들은 향후 기업 명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PR커뮤니케이션의 과정 및 결과를 통해 나타나는 공익성을 변수로써 적용해 이를 PR학의 주요 변수인 조직 공중 관계성, 기업 명성과 비교하는 가운데 이들 간의 상관성, 인과관계, 매개관계 등을 밝혀냈다는 이론적 의의를 지닌다. 더불어 PR커뮤니케이션 공익성을 실무적으로 적극 활용할 것을 관련 업계에 제안했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PR커뮤니케이션 본질적 측면에서의 사회적 역할 모색
2) 조직 공중 관계성, 기업 명성 등 주요 변수와의 관계 논의
3. 연구문제
4. 연구 방법
1) 자료 수집 절차
2) 분석 방법
3) 측정문항
5. 연구 결과
1) <연구문제 1-1>의 결과
2) <연구문제 1-2>의 결과
3) <연구문제 2-1>, <연구문제 2-2>의 결과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혜영 Hyeyoung Park. 한신대학교 미디어영상광고홍보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