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인체조직기증에 대한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Education on Human tissue donation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Perception of death

박민애, 윤영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design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programs on human tissue donation for nursing students to change the perception of human tissue don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5 nursing students located in U city, 38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7 in the control group.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3.0. The average age was 22.39±0.75 years old, women 84.2%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rior data between the two groups. Knowledge (F=-8.921, p<).001, Attitude (F=-5.414, p<).001, perception of death (F=-3.075, p=).004)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of nursing students developed to promote human tissue donation showed a positive effect on human tissue donation. When programs to be applied to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train not only medical personnel but also experts in other fields must be developed, the establishment and stability of the human tissue donation culture will be solidified. It is also suggested that health care campaigns and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conducted together.

한국어

본 연구는 인체조직기증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위해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체조직기증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실험설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이다. 연구대상자는 U시에 위치한 간호학전공 대학생 75명 으로 실험군 38명, 대조군 37명으로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자료는 SPSS/WIN 2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평균 연 령 22.39±0.75세, 여성이 84.2%였으며 두 군간 일반적 특성과 사전자료 모두 차이가 없었다. 결과변수인 지식 (F=-8.921, p<.001), 태도(F=-5.414, p<.001), 죽음에 대한 인식(F=-3.075, p=.004)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인체조직 기증 활성화를 위해 개발된 간호대학생 교육 중재가 인체조직기증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한편, 의료인뿐 아니라 타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에 적용할 프로그램도 개발되어야만 인체조직기증 문화의 정착과 안정 이 확고해 질 것이다. 또한 보건의료 캠페인 및 공공 교육기관에서의 교육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3. 연구가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교육중재
5. 중재 제공 및 자료수집 방법
6.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
3.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의 결과변수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박민애 Park Min-Ae. 정회원, 경북전문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 윤영섭 Yoon Young-sub. 정회원, 인천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