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술 콘텐츠 분야

온라인 지역축제 플랫폼의 매체적 수행성과 연극학적 의미 : 뮤지컬 단막극 <아부지, 아버지> 사례 분석

원문정보

Media Performance and Theatrical Meaning of Online Local Festival Platform : A Case Analysis of the Musical One-act Play <Father, Father>

이광용, 이진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erforming art form pays attention to the on-the-ground nature of the play when the stage and the audience meet at a fixed place. Especially the public performances of local festivals. A series of works can be count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on-the-ground work. However, in the ongoing Corona era, most of the local festivals are being conducted non-face-to-face or in a way that combines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using online platforms. The stage structure maximizes the spatiality of reproducing the contrast of extreme characters and the narrative of conflict as the image of the story, and the transition of scenes using video and lighting is a non-verbal expression to enhance readability for the audience to watch the performance. In addition, the gaze and interaction appearing in the conflict structure between the characters through the characterization of the stage and the characters face the gaze of the audience looking from the platform, thereby reproducing the stage action and the narrative action, the realism of the performing arts form. Although it is a form of performing art using an online platform that has been prepared as an alternative due to the coronavirus, this will not be used only as an alternative in this corona era, but in the future, in the future face-to-face local festival performances, more spectators who are difficult to participate in face-to-face participation will participate in various way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performing arts and develop the aesthetics of performance by creating a performance that the cast and spectators make together through the medium of various spaces and completing the festival, going beyond the limits of the play by spatial division. In addition, continuous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online platform media system through the media convergence of the performing arts and to prepare the direction and foundation for the culture and art sales of local festivals.

한국어

공연예술형태는 정해진 장소에서 무대와 관객이 만났을 때 극이 이루어지는 현장성에 주목하며, 특히 지역축제의 공연작품은 현장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손꼽을 수 있다. 그러나 이어지는 코로나시대의 상 황 속에서 대다수의 지역축제들은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한 비대면 혹은 비대면과 대면을 병행하는 방식 으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온라인 방식의 매체융합 공연예술형태의 연극학적 정체성과 그 의미를 뮤지컬 단막극 <아부지, 아버지>의 사례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무대구조는 극단적인 캐릭터의 대비와 갈등의 서사를 재현시키는 공간성을 스토리의 이미지로 극대화 시키고 영상과 조명을 활용한 장면의 전환을 비언어적 표현으로 관객들이 공연을 관람함에 있어 가독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 한, 무대와 등장인물들의 캐릭터의 형상화를 통해 등장인물들 간의 갈등 구조 속에서 나타나는 시선과 상호작용은 플랫폼에서 바라보는 관람객들의 시선을 마주하게 하여 무대행위와 서사행위의 재현으로 공 연예술형태의 현장성을 완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우와 관객의 소통과 공존이 온라인 플랫 폼을 통해 무대의 현장성를 이루고 극을 완성하였으며, 매체를 통한 연극의 수행성 미학을 이루었음을 알 수 있었다.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대안으로 마련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공연예술형태이지만, 이 것을 이 코로나시대의 대안으로서만 사용할 것이 아니라 향후 대면의 지역축제 공연에서 다양한 상황으 로 대면 참가가 어려운 더 많은 관람객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적 구분으로 극의 제한을 넘어 다양한 공간의 매체를 통해서 출연진과 관람객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공연을 만들고 축 제를 완성함으로써 공연예술의 범주를 넓히고 수행성의 미학을 발전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온라 인 플랫폼 매체의 시스템을 공연예술형태의 매체융합으로 정체성을 확립시키고 지역축제의 문화예술분 양의 방향성과 기반 마련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연구범위 및 방법
Ⅱ. 뮤지컬 단막극<아부지, 아버지>의 사례분석
2.1. 품바축제의 프로그램 구성
2.2. 온라인 플랫폼의 기능 및 성과
2.3. 뮤지컬 단막극<아부지, 아버지> 무대 공간과 서사 분석
2.4. 온라인 플랫폼의 매체적 수행성
2.5. 연극학적 의미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광용 Lee, Kwang-Yong. 동국대학교 연극학부 겸임교수 (Dongguk Univ.)
  • 이진경 Jin-Kyung, Lee. 국립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겸임교수 (Andong Univ.)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