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4중이제설에 관한 비판적 고찰 - 길장은 그 당시 다른 학파들을 겨냥하여 4중이제설을 전개했는가? -

원문정보

A Critical Examination of a Prominent Theory about the Four-level Two Truths : did Jizang develop his four-level two truths theory in reaction to other schools of thought in his time?

조윤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theory of the four-level two truths (四重二諦說) created by Jizang (吉藏), was based on the Sanlun school’s traditional theory of the three-level two truths (三重二諦說), and is one of the most renowned teachings of the Sanlun school (三論宗). Most of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e theory of the fourlevel two truths were the result of integrating the theory mentioned in other literature of Jizang, focusing on the theory introduced in Dasheng xuanlun 大乘玄論. However, the extant Dasheng xuanlun is neither a work of Jizang nor a compilation by his disciples. Instead, it is a document that was later attributed to Jizang, distorting many of his thoughts, including the theory of the four-level two truths. Therefore, many issues need to be addressed i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theory of the four-level two truths. This paper focuses on the intended audience of each level of the two truths and examines whether Jizang developed the theory in reaction to other schools of his day. Generally, Jizang’s theory of the four-level two truths is considered to have developed one step further from the theory of the three-level two truths to criticize the two truths of the Abhidharma, Chengshi, Dilun, and Shelun schools in China. However, Dasheng xuanlun, which has been the basis for this argument, misinterpreted the four-level two truths theory since it has nothing to do with the emergence of Yogācāra schools which occurred at the time as the Dilun and Shelun schools. The intended audience of each stage is ordinary people, the two vehicles, and Bodhisattvas, the same as in the early theory of the three-level two truths. It is far from the original intention of Jizang to claim that those three recipients correlate with the masters of the Abhidharma, Chengshi, and Mahāyāna (e.g., Dilun and Shelun) schools, mentioned in Dasheng xuanlun. Jizang’s theory of the four-level two truths is not a separate theory that deviates from the context of the traditional theory of the three-level two truths but is a multi-layered theory developed more systematically in a continuous context with the theory of the three-level two truths. By focusing on the intended audience at each stage, this paper lays the groundwork for further research on the logic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ur-level two truths theory.

한국어

4중이제설은 길장이 삼론종의 전통적인 3중이제설을 토대로 창조한 이제설로서, 삼론종에서 가장 잘 알려진 이론 가운데 하나다. 4중이제설과 관련된 선행연구 대부분은 『대승현론』에 소개된 4중이제설을 중심으로 길장의 타 문헌에 언급된 4중이제설을 통합적으로 연구했다. 그런데 『대승현론』은 길장이나 길장의 제자의 편찬이 아닌, 후대에 가탁된 문헌으로 길장의 사상을 여러 측면에서 왜곡시키고 있고, 4중이제설은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기실, 4중이제설에 관한 기존 해석 가운데는 재검토되어야 할 부분들이 많다. 이 논문은 그중에서 4중이제설의 교화대상에 초점을 맞추어, 길장이 과연 그 당시 다른 학파들을 겨냥하여 4중이제설을 전개했는지 살펴보았다. 대다수 연구에서 길장의 4중이제설을 당시 중국의 비담사, 성실론사, 지론사, 섭론사의 이제설을 대치하기 위해 3중이제설에서 한 단계를 더해 발전시킨 학설로 간주했다. 그러나 이 주장의 근거가 된 『대승현론』은 길장의 4중이제설을 오해하고 있으며, 4중이제설의 출현은 당시 지론종이나 섭론종과 같은 유식학파와 무관하다. 4중이제설의 교화대상은 초기 3중이제설과 마찬가지로 범부, 이승, 보살이다. 그리고 『대승현론』에서 언급한 비담사, 성실사, 대승사(지론사 및 섭론사)를 이 세 대상에 대응시켜 해석하는 방식은 길장의 의도와 거리가 멀다. 길장의 4중이제설은 결코 전통적인 3중이제설의 맥락에서 벗어난 별개의 학설이 아니라, 3중이제설과 연속적인 맥락 속에서 그것을 더욱 체계적으로 발전시킨 중층적 이제설이다. 4중이제설의 각 단계가 겨냥한 교화대상을 규정하는 것은 앞으로 4중이제설의 전체 논리 구조와 사상적 특징을 밝히기 위한 토대 작업이다.

목차

국문 초록
Ⅰ. 머리말
Ⅱ. 4중이제설의 기본구조
Ⅲ. 선행연구 검토
1. 히라이슌에이(平井俊榮)
2. 리스지에(李世傑)
3. 양훼이난(楊惠南)
4. 스창칭(Shi, Changqing, 釋長淸)
5. 천핑쿤(陳平坤)
Ⅳ. 『대승현론』의 4중이제설
Ⅴ. 4중이제설의 교화대상과 타 학파
1. 중층적 이제설의 교화대상
2. 길장의 중층적 이제설과 타 학파의 이제설
Ⅵ. 맺음말
약호 및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윤경 Yoonkyung CHO. 국립안동대학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