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래동화 그림책을 수록한 교과서 편집디자인의 변화 연구 초등학교 - 저학년 국어교과서 사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n Analysis on Editorial Design of Textbooks including Traditional Fairy Tale Picture Books - Focusing on the 1st and 2nd grade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 -

이은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differences shown in editorial design focusing on case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including the traditional fairy tale picture books. Thus, this study conducted the case analysis according to the elements of editorial design targeting the recent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lower grad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icture books utilized various layouts such as up & down, left & right, and symmetry while the textbooks followed the existing layout. Second, the typography was unified into Ming-style font of main texts in the existing textbooks, so the text itself was transformed like change in the font of picture books, deletion of text, recombination, and addition. Third,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ypography shown in the emphasis by changing the size or visualizing the rhythmic sense of text just like onomatopoeic words were deleted. Fourth, there was transformation such as size reduction and deletion of visual image, and deletion of background space. Fifth, the picture book image according to the narrative structure showed the disharmony of text and picture as the order was changed through the recomposition in textbooks. Sixth, compared to picture books, the text space of textbooks was expanded, and the text and picture were separated contrary to the picture books showing the connected and mixed text and picture. Thus, in the editorial design of textbooks, the utilization of text and image which would be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picture book was damaged like reduction and transformation rather than maximization or expansion, so the understanding, delivery, and effects according to the narrative structure of traditional fairy tale were decreased. This is shown as a problem of not clearly delivering the theme of picture book, and through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the picture is handled in the editorial design just like the existing illustration that used to play the incidental roles in contents, rather than playing the main roles.

한국어

본 연구는 전래동화 그림책을 반영한 초등 국어교 과서의 사례를 중심으로 편집디자인에 따른 구성 변화 를 살펴보고자 함이다. 이에 따라 2021년 2학기 저학 년 국어교과서를 대상으로 수록된 그림책의 편집디자 인 요소에 대한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이 상하, 좌우, 대칭 등의 다양한 레이아웃을 활용하는 것에 비하여 교과서에서 는 기존의 레이아웃을 답습하는 형태로 변형되었다. 둘째, 타이포그래피는 기존 교과서의 본문 명조체로 통일되어 그림책 서체의 변경, 글의 삭제, 재조합, 추 가 등의 텍스트 자체의 변형이 이루어졌다. 셋째, 교과 서에는 의성어와 같이 글의 리듬감을 시각화하거나 크 기 변화를 통한 강조에 나타나는 타이포그래피의 시각 적 특성이 삭제되었다. 넷째, 시각 이미지 크기의 축 소, 삭제, 배경 공간의 삭제 등의 변형이 나타났다. 다 섯째, 서사 구조에 따른 그림책 이미지는 교과서에서 재구성을 통해 순서가 변형되어 글과 그림의 부조화가 나타났다. 여섯째, 그림책에 비하여 교과서의 텍스트 공간이 확장되었으며 글과 그림이 서로 혼합되어 연결 된 그림책과 달리 분리되어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교과 서의 편집디자인에서 그림책의 가장 큰 특징인 이미지 와 텍스트의 활용이 극대화되거나 확장되는 것이 아닌 축소 및 변형으로 훼손되어 전래동화의 서사 구조에 따른 이해, 주제 전달 및 효과가 줄어들었다. 이는 그 림책의 주제를 명확하게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로 나타 나며 변형 과정을 통해 그림이 주가 아닌 내용의 부수 적 역할을 했던 기존의 삽화와 같이 교과서 편집디자 인에 반영됨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전래동화의 교육적 의미
2.2. 교과서에서 그림책의 역할
2.3. 국어교과서에 반영된 전래동화 그림책
2.4. 편집디자인의 시각 구성요소
3. 사례분석
3.1. 1-2 국어‘가’의 사례 분석
3.2. 1-2 국어‘나 ’의 사례 분석
3.3. 2-2 국어‘가 ’의 사례 분석
4. 종합 논의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은주 Lee, Eun Joo. 경희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