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성인학습자의 온라인 동료 피드백 유형이 상호작용 중심성, 노드 유형, 연결망 밀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s of Online Peer Feedback Type on Online Interaction Centrality, Node Type, and Social Network Density

신선애, 송해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teraction is an essential element for meaningful online learning because it facilitates the online task performance. Online peer feedbacks allows online learners to focus on their learning processes by themselves and motivate themselves toward learning tas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online peer feedbacks as a strategy that facilitate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learners and decrease the difficulties and burdens in learning individual tasks. The study in particular examine the effects in terms of interaction centrality, node type, and social network density. Two types of feedbacks (cognitive, affective) were provided to experimental groups. Cognitive feedback group showed a more robust centrality, more ordinary types, and more interactions in terms of social networking analysis. The results suggest that cognitive feedback can better prompt social interaction in terms of centrality, connectedness, and relation in an online environment.

한국어

상호작용은 유의미한 온라인 학습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 온라인 과제 수행시 이 를 촉진하기 위한 전략으로 중요하다. 온라인 동료 피드백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스스 로 학습과정에 초점을 두고 학습과제에 대해 동기화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학 습자 간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학습자의 개별과제에 대한 어려움과 부담감을 줄이고,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으로 온라인 동료 피드백 유형이 상호작용 중심 성, 노드유형, 연결망 밀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온라인 동료피드백 유형을 인 지적 측면의 비판적 피드백과 정의적 측면의 칭찬 피드백으로 나누어 제공한 결과, 인지적 피드백을 제공받은 집단의 상호작용이 중심성, 노드 타입, 밀도에 걸쳐 더 견 고하고 강력한 네트워크 양상을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는 온라인 피드백을 통해 상호 작용을 촉진하기 위해서 인지적 피드백을 활용하는 것이 상호작용의 중심성, 노드유 형, 연결 관계가 보다 촉진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온라인 학습에서의 상호작용
2. 동료피드백 유형
3. 학습자 간 상호작용 분석방법으로써 상호연결망분석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및 자료 분석
Ⅳ. 연구결과
1. 동료 피드백 유형이 네트워크의 연결정도 중심성에 미치는 영향
2. 학습자간 온라인 피드백 유형이 네트워크의 노드유형에 미치는 영향
3. 학습자간 온라인 피드백 유형이 네트워크의 밀도 연결망에 미치는 효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선애 Shin, Sunae.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 송해덕 Song, Hae-Deok.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