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유연근무제와 다국적기업 직원의 직무열의 : 제도적 요인들의 조절효과
초록
영어
Flexible work arrangements (FWAs), especially remote work, are in the spotligh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use of FWAs will likely continue long even after the pandemic ends.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FWAs is also greater than ev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FWAs by analyzing the effect of FWAs on employees’ job engagement.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roles of institutional factors, labor market efficiency,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WAs and job engagement. This study used the “Generations of Talent Study” database collected by Sloan Center at Boston College, the World Economic Forum database, and the World Bank database for testing the hypotheses. The total sample included 7,701 employees working in multinational corporations in nine countries, the US, China, India, Japan, Brazil, Mexico, the UK, the Netherlands and Spai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FWAs increased employees’ job engagement. The results further revealed that the institutional factors, labor market efficiency,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 positively moderated the effect of FWAs on job engagement.
한국어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해 재택근무를 포함한 유연근무제의 사용이 확대되었고, 팬데믹이 종식되어도 유연근무제의 사용은 계속될 전망이다. 따라서 유연근무제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는 유연근무제의 시행이 다국적기업 직원들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 효과성을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유연근무제의 시행과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세 가지의 제도적 요인인 노동시장의 효율성,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과 기술발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보스턴대학, Sloan센터에서 수집한 Generations of Talent Study 데이터베이스, World Economic Forum 데이터베이 스와 World Bank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거설을 검증하였다. 분석에는 미국, 중국, 인도, 일본, 브라질, 멕시코, 영국, 네덜란드, 스페인, 총 9개국의 다국적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원 7,701명의 응답 자료가 포함되었다. 분석결과, 유연근무제의 시행이 직원들의 직무열의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유연근무제와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제도적 요인들 인 노동시장의 효율성,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과 기술발전의 긍정적인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목차
I.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and Hypothesis Development
1. The Implementation FWAs and Job Engagement
2. The Moderating Effect of Labor Market Efficiency
3. The Moderating Effect of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4.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ical Advancement
III. Method
1. Data and Sample
2. Measurement
3. Analysis Method
IV. Results
1.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s
2. Results
V. Conclusion and Discussion
References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