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술심리치료의 지평확대를 위한 양자역학 및 기호학적 시론(試論)

원문정보

A New Horizon of Arts-Psychotherapy : From the Viewpoint of Quantum Mechanics and Semiotics

최주희, 남현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new framework in which arts psychotherapy, which is based on the existing ‘deterministic ontology,’ can be interpreted and observed, to expand the concept of how people and arts media interact with one another in a brand new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oncepts of quantum mechanics and semiotics, which can be applied to arts psychotherapy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lso,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 provided the triadic relation of and a new horizon for arts psychotherapy. First, how can be applied Peirce's triadic relation which is raised semiotics to arts psychotherapy? In arts psychotherapy, objects are invisible parts of the client's life. This is an object that exists and affects the client. Also, the representamen in arts psychotherapy is the expressed the arts by the client. And the interpretant of this is divided into what can be called the therapist's point of view, the client and the therapist's point of view, and the client's point of view. The newly created symbols resulting from the semiosis of each perspe ctive become the core concepts that explain the new horizon of arts psychotherapy through diagnosis, shadow works, and insight. Second, how can the core principles of quantum mechanics (uncertainty, complementarity, anti-matter, quantum leap, and symmetry) be applied to arts psychotherapy? Uncertainty and complementarity apply to the diagnosis of arts psychotherapy. And, the wave of the arts and their interpretations show complementarity. And, the process of anti-matters joins matters to offset one another was applied to the shadow works. Quantum leaps can be applied to the insights achieved through such shadow works. The last principle, symmetry, applies to change in media.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provide a new direction to expand the horizon of arts psychotherapy and assist arts psychotherapist in the process.

한국어

본 연구는 ‘결정론적 실재론’에 근거한 예술심리치료를 새롭게 해석하고 조망할 수 있는 틀 을 제시하기 위하여, 새로운 관점에서 인간과 예술 매체의 상호작용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 는지에 대한 개념을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기초로 하여 예술 심리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양자역학과 기호학의 개념을 고찰하고, 예술심리치료의 삼원적 관 계와 예술심리치료의 새 지평을 제시하였다. 첫째, 기호학에서 제기된 퍼스의 삼원적 관계를 예술심리치료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 예술심리치료에서 대상은 내담자 삶의 부분들이며, 내담자에게 영향을 주는 실재 대상이다. 그리고 표상체는 내담자가 표현한 예술이다. 해석체는 치료사 관점, 내담자와 치료사 관점, 내담자 관점으로 구분된다. 이렇게 각 관점의 세미오시스 에서 새롭게 생성된 기호는 진단, 그림자 작업, 통찰로 예술심리치료의 새 지평을 설명하는 핵 심 개념들이 된다. 둘째, 양자역학의 기본 원리(불확정성과 상보성, 반물질, 양자 도약, 대칭)가 예술심리치료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 불확정성과 상보성은 진단에 적용된다. 반물질이 물 질과 만나 상쇄되는 과정은 그림자 작업에 적용된다. 양자도약은 이러한 그림자 작업에서 이루 어진 통찰에 적용된다. 마지막으로 대칭은 미디어의 변화에 적용된다. 본 연구가 예술심리치료 의 지평을 확대하는 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수행하려는 예술심리치료사들에게 도움 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Ⅱ. 예술심리치료의 삼원적 관계
1. 예술심리치료의 삼원체
2. 대상과 실재
3. 표상체와 예술의 파동
4. 해석체와 세미오시스
Ⅲ. 예술심리치료의 새 지평
1. 진단의 불확정성과 상보성
2. 그림자 작업과 의식-무의식의 상쇄
3. 통찰과 도약
4. 미디어의 변화와 대칭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주희 Choe, Ju-Hee.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의과학과 강사
  • 남현우 Nam, Hyun-Woo.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의과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