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신기술과 기간·전략 분야 인력양성 프로그램 만족도 및 고용가능성 관계모형 비교

원문정보

Comparison of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Relationship Models for New Technology and Infrastructure & Strategy Field

정선정, 이문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perception of those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new technology, infrastructure & strategy industries manpower training program. To this end,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s projects (Digital New Technology Core Practical Talent Training, National Infrastructure and Strategy Industries Training) that can represent human resources training programs in related fields were selected, and training status and course evaluation response data in the first half of 2021 were secured (new technologies 741, infrastructure & strategy 23,015 people). The analysis method was analyzed using mean differenc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etween groups. In conclusion, first, the training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perceived by those who completed new technology and infrastructure & strategy were all higher than 4.1. However, as a result of testing for differences by field, it was found to be high in both infrastructure & strategy fields (4.31, 4.40, and 4.11 for new technologies, 4.51, 4.53, and 4.31 for infrastructure & strategy, respectively). Second, in the field of new technology, only six sub-factors of training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trainees (training content, training method, training teacher, facility equipment, administrative support, employment support) formed a relational model that affected satisfaction, whereas in the field of infrastructure & strategy, in addition to the six sub-factors of training service quality, most variables such as individual trainee characteristics (gender, age), training process characteristics (training hours), and training institution characteristics (certification grade, institution ghost, training scale) was forming a relational model that affected satisfaction. Third, in the field of new technology, a relational model was formed in which the variables affecting employability were concentrated on three sub-factors of training service quality (employment support, training content, and training method). Whereas In the field infrastructure & strategy, the influence of the three sub-factors is high as in the field of new technology, but other than sub-factors of training service quality (facility equipment, administrative support, training teachers), as well as individual trainees (gender, age) and training process (training hours) and training institutions (certification grade, training scale) characteristics, etc., formed a relational model in which employability increased.

한국어

이 연구는 신기술과 기간·전략 분야 인력양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수자의 만족도와 고용가능성 인 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구명하는 것으로, 각 분야별로 어떠한 변인들이 만족도와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관계모형을 비교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분야의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대표할 수 있는 고용노동부 사업(디지털 신기술 핵심 실무인재 양성훈련,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을 선정하고, 2021년 상반기 훈련현황 및 수강평 응답 자료(신기술 741명, 기간·전략 23,015명) 등을 확보하였다. 분 석방법은 집단간 평균 차이분석과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론은 첫째, 신기술과 기간·전략 분야 이수자가 인식하는 훈련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고용가능성은 모두 4.1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분야별 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 기간·전략 분야에서 모두 높게 나 타났다(신기술 각 4.31, 4.40, 4.11 / 기간·전략 각 4.51, 4.53, 4.31). 둘째, 신기술 분야는 훈련생이 인 식하는 훈련서비스 품질의 6개 하위요인(훈련내용, 훈련방법, 훈련교사, 시설장비, 행정지원, 취업지원) 만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모형을 형성한 반면, 기간·전략 분야는 훈련서비스 품질 6개 하위요 인뿐만 아니라, 훈련생 개인 특성(성별, 연령), 훈련과정 특성(훈련시간), 훈련기관 특성(인증등급, 기관 유령, 훈련규모) 등 대부분의 변인들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모형을 형성하고 있었다. 셋째, 신 기술 분야는 고용가능성 영향 변인이 훈련서비스 품질의 3개 하위요인(취업지원, 훈련내용, 훈련방법) 에 집중된 관계모형을 형성한 반면, 기간·전략 분야는 신기술 분야와 동일하게 3개 하위요인의 영향력 이 높지만, 그 이외 훈련서비스 품질 하위요인(시설장비, 행정지원, 훈련교사)뿐만 아니라, 훈련생 개인 (성별, 연령) 및 훈련과정(훈련시간), 훈련기관(인증등급, 훈련규모) 특성 등 다양한 변인들을 통해 고용 가능성이 높아지는 관계모형을 형성하고 있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신기술과 기간·전략 분야 인력양성사업 프로그램
2.2 교육훈련 만족도와 고용가능성에 관한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3.2 분석대상 및 자료수집
3.3 변인구성 및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4.1 분석대상 일반적 특성
4.2 분야별 훈련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고용가능성 수준 및 차이
4.3 분야별 만족도 영향 변인 관계모형
4.4 분야별 고용가능성 영향 변인 관계모형
4.5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정선정 Sun-Jeong Jeong.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직업능력심사평가원
  • 이문수 Moon-Su L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직업능력심사평가원 원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