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급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구전정보 및 전자구전정보가 브랜드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신뢰 매개역할 및 브랜드이미지 조절효과 -

원문정보

Impact of WOM and eWOM on Brand Purchase Intention in Luxury Cosmetic Purchase Setting: - Mediating Role of Brand Trust and Moderating Effect of Brand Image -

디마 마호메드 알디얍, 최철재, 민대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word of mouth and electronic word of mouth on brand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brand trust for those who have experience purchasing luxury cosmet ics brands in department stores,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brand ima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 of mouth and ele ctronic word of mouth and brand tru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ata were checked using SPSS 21.0 and AMOS 20 statistical packages, and the research model a nd research hypothesis were tested by structural equatio n model analysis. Both word of mouth and electronic wor d of mouth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trust and purc hase intention, and brand trust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nd brand trust was partially mediat 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 of mouth and electro nic word of mouth and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w hile the effect of adjusting brand image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 of mouth and brand tru st, it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 d of mouth and brand trust. Offline distribution channels should provide important word-of-mouth information to customers to increase brand trust and increase purchase intentions by strengthening relationships. On the other hand, online distribution channels should use various sales promotion tools to motivate customers to purchase directly.

한국어

백화점에서 고급화장품 브랜드 구매 경험자를 대상으로 구전과 전자구전이 브랜드신뢰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력 차이 및 브랜드신뢰의 매개역할을 확인하고, 또한 구전 및 전자구전과 브랜드신뢰 관계에서 브랜드이미지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SPSS 21.0 및 AMOS 20 통계패키지를 이 용해 자료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인하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으로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을 검정하였다. 구전 및 전자 구전은 모두 브랜드신뢰 및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 고, 또한 브랜드신뢰는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그 리고 구전 및 전자구전과 구매의도 관계에서 브랜드신뢰는 모두 부분적으로 매개되었다. 또한 구전과 브랜드신뢰 관계 에서 브랜드이미지 조절효과는 유의한 반면, 전자구전과 브 랜드신뢰 관계에선 유의하지 않았다. 오프라인 유통채널에선 고객에게 중요한 구전 정보를 제공하여 브랜드신뢰를 높이 고 관계강화를 통해 구매의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반면에 온 라인유통채널에선 다양한 판매촉진도구를 사용하여 고객이 직접적으로 구매를 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해야 할 것이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구전(Word Of Mouth, WOM)
2.2.전자구전(Electric Word Of Mouth, eWOM)
2.3. 브랜드신뢰(Brand Trust)
2.4. 브랜드 구매의도(Brand Purchase Intention)
2.5. 브랜드이미지(Brand Image)
3.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의 설정
3.1. 전자구전, 구전과 브랜드신뢰 관계
3.2. 전자구전, 구전과 브랜드구매의도 관계
3.3. 브랜드신뢰와 브랜드구매의도 관계
3.4. 구전, 전자구전과 브랜드신뢰 관계에서 브랜드이미지의 조절효과
3.5. 구전, 전자구전과 브랜드구매의도 관계에서 브랜드신뢰의 매개효과
4. 실증분석
4.1 변수의 측정 및 조작적 정의
4.2. 인구통계분석 및 타당도, 신뢰도 분석
4.3. 연구모형 적합도 및 가설의 설정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저자정보

  • 디마 마호메드 알디얍 Deema Mohammed Altheyab.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 최철재 Choi Chul Jae. 단국대학교, 경영학부
  • 민대규 Min Dae Gyu.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