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practical competency and job performance of professional engineer in Korea. The population is all professional engineers and the sample size was set to 420. Sampling was done by randomly extracting 8 items in considera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access problems and research goals. For data collecting, 3,582 questionnairs were distributed through KPEA’s e-mail system and 411 of the surveys were analyzed, except for that didn’t meet the research purpose. For data analysis, basic statistical, ANOVA, correlation, regression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the SPSS for Windows program.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First, professional engineers have slightly higher level of engineering basic competency(M=3.83), ractical competency(M=3.84) and job performance (M=3.37) than the appropriate level.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of professional engineers according to items, qualification requirements for applications, and practical experience, and the higher the level of job performance. Third,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have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practical competency(β=.846) and job performance(β=.640). Practical competency have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β=.628).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have indirectly and positively effect on job performance(β=.323) through practical competency.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사의 공학기초능력, 실무능력 및 직무수행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모집단 은 모든 기술사로서 표본크기는 420명으로 설정하였으며, 표집은 모집단의 특성, 개인정보 접근 문제와 종목 간 차이를 구명하는 연구목표를 고려하여 8개의 종목을 무작위 추출하였다. 자료수집은 한국기술사 회의 온라인 시스템을 활용하여 총 3,582명의 기술사에게 설문지를 배부하고, 종목별 최소 35부 이상, 총 420부가 회수되어 자료수집을 종료하였으며, 연구목적에 맞지 않는 9개의 설문을 제외하고 최종적으 로 411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for Windows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분석, 집 단간 차이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기술사의 공학기초능력 수준은 적정수준보다 약간 높은 수준(M=3.83)이고 실무능력 수준은 적정수준보다 약간 높은 수준(M=3.84)이었다. 기술사법의 16개 직무의 평균 중요도는 기본직무보다는 약간 중요한 수준 (M=3.84)이었으며,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반영한 기술사의 직무수행 수준은 적정수준보다 약간 높은 수준(M=3.37)이었다. 둘째, 기술사의 공학기초능력은 종목, 응시자격 요건, 실무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 이가 없었고, 직무수행 수준은 실무경력이 많을수록 높았다. 셋째, 기술사의 공학기초능력은 실무능력 (β=.846)과 직무수행(β=.640), 실무능력은 직무수행(β=.628)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학기초능력은 실무능력을 매개로 직무수행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β=.323)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기술사 자격의 검정기준과 전문성
2. 기술사의 직무수행과 측정
3. 기술사의 직무수행과 공학기초능력, 실무능력의 관계
Ⅲ. 연구 방법
1. 연구 모형
2. 연구 대상
3. 조사 도구
4. 자료수집
5. 자료분석
Ⅳ. 결과 및 논의
1. 기술사의 공학기초능력, 실무능력 및 직무수행 수준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학기초능력, 실무능력 및 직무수행의 차이
3. 공학기초능력, 실무능력 및 직무수행의 관계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