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최신 대화형 에이전트 기반 상용화 교육 플랫폼 오류 분석

원문정보

Error Analysis of Recent Conversational Agent-based Commercialization Education Platform

이승준, 박찬준, 서재형, 임희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research and development using various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ies are being conduct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mong the AI in Education (AIEd), conversational agents are not limited by time and space, and can learn more effectively by combining them with various AI technologies such as voice recognition and translation. This paper conducted a trend analysis on platforms that have a large number of users and used conversational agents for English learning among commercialized application. Currently commercialized educational platforms using conversational agent through trend analysis has several limitations and problems. To analyze specific problems and limitations, a comparativ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he latest pre-trained large-capacity dialogue model. Sensibleness and Specificity Average (SSA) human evaluation was conducted to evaluate conversational human-likeness. Based on the experiment, this paper propose the need for trained with large-capacity parameters dialogue models, educational data, and information retrieval functions for effective English conversation learning.

한국어

최근 교육 분야에서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연구와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 중 특히 대화형 에이전트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음성인식, 번역과 같은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과 결합해 더 효과적인 언어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은 상용화된 교육용 플랫폼 중 이용자 수가 많고 영어 학습을 위한 대화형 에이전트가 활용된 플랫폼에 대한 동향 분석을 진행하였다. 동향 분석을 통해 현재 상용화된 교육용 플랫폼의 대화형 에이전트는 여러 한계점과 문제점이 존재했다. 구체적인 문제점과 한계점 분석을 위해 사전 학습된 최신 대용량 대화 모델과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고, 실험 방법으로 대화형 에이전트의 대답이 사람과 비슷한지를 평가하는 Sensibleness and Specificity Average (SSA) 휴먼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 내용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개선방안으로 대용량 파라미터로 학습된 대화 모델, 교육 데이터, 정보 검색 기능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관련 연구
2.1 대화형 에이전트 (Conversational Agent)
2.2 대화형 에이전트 기반 교육 연구
3. 대화형 에이전트 기반 교육용 플랫폼 동향
3.1 Cake
3.2 Duolingo
3.3 Andy
3.4 Mondly
3.5 Speak Now
4. 실험 및 실험결과
4.1 데이터셋
4.2. 실험 모델
4.3 실험디자인
4.4 평가지표
4.5 실험 결과
5. 제안하는 개선방안
5.1 대용량 사전학습 모델
5.2. 교육 데이터 구축
5.3. 정보 검색 기능
6.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승준 Seungjun Lee.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석·박사통합과정
  • 박찬준 Chanjun Park.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석·박사통합과정
  • 서재형 Jaehyung Seo.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석·박사통합과정
  • 임희석 Heuiseok Lim.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