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 실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에 반영된 기능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Skills Reflected on Achievement Standards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in Practical Arts

김지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kills reflected in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natinoal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instuctional objectives of teacher’s guide. To achieve the purpose, 40 achievement standards and 654 instructional objectiv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used verbs were generic term such as ‘know and understand’ in the statements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Second, the competencies of relationship formation and technology utilization showed the biggest coincidence in verbs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Third, among the groups of skills related to subiect competencies, unreflected skills were much more than skills which were totally or partially reflected in achievement standards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Fourth, the seven skills such as ‘plan, design, practice, apply, suggest, evaluate and explore’ were simultaneously reflected in achievement standards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Otherwise the skills such as ‘operate, synthesize, estimate, examine, infer’ were not included in both achievement standards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Fifth, it was suggested to improve achievement standards and eastablish hierarchy and range of action verbs utilized in achievement standards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한국어

이 연구는 실과의 교과 역량을 재해석한 기능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에 반영된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성취기준 40개와 학습목표의 진 술문 654개를 내용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의 성취기준과 학습목표 진술문에서 가장 빈번히 포함된 서술어는 포괄적 의미를 지닌 ‘알기, 이해하기’등 이었다. 둘째. 역량군별로 분류한 성취기준과 학습목표의 진술문에서 서술어의 일치도가 가장 높은 역량은 가정생활 분야에서는 관계형성능력이었고, 기술의 세계 분야에서는 기술활용능력이었다. 셋째, 교과 역량별 관련 기능군 중 성취기준과 학습목표에 모두 또는 일부 반영된 기능들보다 전혀 반영되지 않은 기능들이 현저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과의 15개 기능 중 성취기준과 학습목표에 모두 반영된 것은 ‘계획하기, 설계하기, 실천하기, 적용하기, 제안하기, 평가하기, 탐색하기’의 7개였고, 전혀 포함되지 않은 것은 ‘조작하기, 종합하기, 판 단하기, 조사하기, 추론하기’의 5개였다. 다섯째, 성취기준의 진술 방식 개선, 성취기준과 학습목표의 진술에 활용될 행동동사의 범위와 위계 정립 등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및 내용
Ⅱ. 이론적 배경
1.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과 역량, 기능 및 성취기준
2.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서의 교과 역량, 기능과 성취기준
Ⅲ. 연구의 방법
1. 분석 대상
2. 분석 기준
3. 분석 방법
Ⅳ. 연구의 결과
1. 실과의 성취기준과 학습목표의 진술에 활용된 서술어 분석
2. 실과의 성취기준과 학습목표에 반영된 기능 분석
3. 실과의 기능, 성취기준 및 학습목표의 연계에 대한 시사점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지숙 Jisuk Kim. 공주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