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Cultural Identity in Folktale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 Education - Focusing on Mongolian Animal Tales -
초록
영어
In comparison among fragmentary cultures, this study attempted to search intercultural education which offers an opportunity to learn different culture under a comprehensive and archetypal thinking system. For this, it suggests a plan to learn the cultural identity of each race described in folk tales. Cultural identity represents behavior, value and world view shared by people over a long period of time. Learning each race’s cultural identity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 education is to understand other races’ culture in a total and archetypal thinking system. Therefore, this study approached Mongolian cultural identity which sees the human-animal relationship horizontal from the standpoint of intercultural education through Mongolian animal tales ‘Erkhii Mergen’ and ‘Hangard’. In ‘Erkhii Mergen’, groundhogs, swallows and horses appear. In ‘Hangard’, imaginary animals, sparrows, flies and snakes are stated. In Mongolian cultural identity which is found in the two above tales, a human-animal relationship is perceived as ‘horizontal’, which is in contrast with the view of the Republic of Korea, in which humans are in a horizontal relationship with God. In Korean shaman myths, humans are in an equal position with God after going through the rite of passage. In fact, such viewpoint seeing the human-God relationship horizontal has a critical influence on Korean people’s lives such as the Miracle of the Han River and Remarkable Run to the Semi-finals of the World Cup. In contrast, the Mongolian viewpoint seeing the human-animal relationship horizontal makes people live a modest and human life before nature, including the nomad life with animals.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other races’ lifestyles and customs, cultural identity in folk tales are much more important than superficial phenomena and acts in terms of intercultural education. To understand other culture in a comprehensive and essential fashion, each race’s cultural identity described in each tale is the key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 education.
한국어
이 연구는 단편적이고 파편적인 문화 간 비교 형태의 상호문화교육에서 종합적이고 원형적인 사유체계 속에서 서로 다른 민족의 문화를 학습하는 상호문화교육 모색을 목 표로 한다. 목표를 실현하고자 설화에 나타난 각 민족의 문화 정체성, 즉 오랜 세월 동 안 각 민족이 공유한 행동과 가치관 그리고 세계관을 의미하는 문화 정체성을 제시하 였다. 이 글에서는 몽골의 동물 설화 <에르히 메르겡>과 <항가르드>를 통해 인간과 동물을 수평적 관계로 본 세계관, 즉 몽골의 문화 정체성을 한국의 설화와 비교한 후 상 호문화교육적으로 접근하여 제시하였다. 설화 <에르히 메르겡>은 우드척, 제비, 말이 중요한 동물 화소로 등장하는 동물 출 현담이고, 설화 <항가르드>는 항가르드라는 상상 속의 동물과, 참새(제비), 파리, 뱀 이 등장하는 동물담이다. 두 설화에 공통으로 나타난 몽골의 문화 정체성은 인간과 동 물을 수평적 관계로 보는 세계관이다. 동물과 수평적 관계로 인간을 보는 몽골의 세계 관은 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유목 생활을 비롯하여 동물 나아가 자연 앞에서 겸손하고 낮은 자세로 살아가는 몽골인의 삶의 방식을 만든다. 반면, 한국의 신화에서는 신과 인 간을 수평적 위치에 둔 세계관을 확인할 수 있다. 신과 인간을 수평적 관계로 보는 세 계관은 실제로 ‘한강의 기적’, ‘월드컵 4강 신화’와 같은 현상을 만들며 한국인의 삶에 중 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처럼 타민족의 삶의 방식과 관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표면적으로 보이는 현상과 행위보다 세계관처럼 설화에 나타난 문화 정체성이 상호문화교육 관점에서 매우 중요 하다. 종합적이고 본질적인 타문화의 이해를 위해서는 설화에 나타난 각 민족의 문화 정체성이 상호문화교육 관점에서 중요한 열쇠이다.
목차
I. 서론
II. 설화에 나타난 문화 정체성
Ⅲ. 몽골 동물 설화에 나타난 문화 정체성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