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감 관련 프로그램에 관한 탐색적 연구

원문정보

Exploratory Study on Empathy-Related Programs

유희수, 윤수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flow and trend of program research related to empathy and seeks future directions and tasks. To this end, a total of 87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KCI-listed) for 10 years from 2012 to 2021 were analyzed under the keywords ‘sympathy’ and ‘program’, an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seen that only one paper was presented in 2021, single-digit papers were published until 2017, and then From 2018, the number of publication increased to double-digit papers. Second, by publisher, education-related papers were the largest, followed by counseling and treatment-related, youth-related,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related, nursing-related and arts. Third, the majority of the study subjects were adults, followed by adolescents, children, and infants. Fourth, as for the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research accounted for most, and qualitative research showed seven articles. Fifth, a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effect studies were the majority, followed by program development studies, change process studies in order, a study on the meaning. Sixth, as for the key words, education was the most common keyword, follow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sychology and emotion, and self. Recently, the key words such as caring, cultural competency,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have been derived. Seventh, as for the measurement tools, on the Interpersonal scale, on the empathy scale, on the pathology scale, and on the ego scale were in the order. Eighth, empathy education program was the most, followed by counseling and treatment program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empathy program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공감 관련 프로그램 연구의 흐름과 경향을 살펴보고 향후 나아갈 방 향과 과제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감’, ‘프로그램’을 주제어로 검색하여 2012 년부터 2021년까지 10년 간 국내 학술지(KCI 등재)에 게재된 총 87편의 논문을 대상으 로 분석하였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행연도는 2012년 1편으로 시작하여 2017년까지 한 자리 수 논문이 발표되다가 2018년 이후 두 자리 수로 증가하였다. 둘 째, 발행처는 교육 관련 논문이 가장 많고 상담 및 치료, 청소년, 인문사회, 간호, 예술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은 성인이 가장 많고 청소년, 아동, 유아 순으로 나타 났다. 넷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했고 질적연구는 7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목적은 효과연구가 가장 많고 프로그램 개발연구, 변화과정 및 의미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주제어는 교육이 가장 많고 대인관계, 심리 및 정서, 자아 순 으로 나타났다. 최근 들어 돌봄, 문화적 역량, 인권 감수성이라는 주제어가 도출되었 다. 일곱째, 측정도구는 대인관계 척도, 공감척도, 병리 척도, 자아 척도 순으로 나타났 다. 여덟째, 프로그램 유형은 교육 프로그램이 가장 많고 상담 및 치료 순으로 나타났 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감 프로그램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 언 및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1. 논문 선정기준 및 절차
2. 분석준거 및 분석틀
Ⅳ. 연구결과
1. 발행연도
2. 발행처
3. 연구대상
4. 연구방법
5. 연구목적
6. 주제어
7. 측정도구
8. 프로그램 유형 및 운영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유희수 Heesoo Ryu.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미술치료학과 석사졸업
  • 윤수진 Sujin Yun. 인하대학교 인문융합치료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