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보 시각화의 요소에 따른 전통시장 종합안내판 디자인 연구 강원도 정선군 - 4개 전통시장 사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Study on the Design of Traditional Market Comprehensive Information Board according to the Elements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 Focusing on the cases of four traditional markets in Jeongseon-gun, Gangwon-do -

김소영, 이은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based on four traditional markets in Jeongseon-gun, Gangwon-do, which are similar in size among traditional markets in Gangwon-do, the results were derived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components. Based on Alberto Cairo's information visualization wheel model, text, color, layout, shape, location, and size were applied as information visualization components, and most of the general information boards had different expression methods, and the role of information delivery was very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void indiscriminate installation and apply the integrated identity of traditional markets in the region to develop and apply basic manuals and integrated signature system guidelines that apply local colors and characters. In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roles and function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traditional market comprehensive information board design was derived, and the analysis results can be used as meaningful data when developing a traditional market sign system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내 전통시장 중 규모와 방문 고객층이 유사한 강원도 정선군 4개 전통시장을 기준 으로 전통시장 정보 제공을 위한 안내사인 중 종합안 내판 현황에 대해 정보 시각화 구성요소 특성을 중심 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알베르토 카이로의 정보 시각화 수레바퀴 모델을 기반으로 문자, 색채, 레이아웃, 형태, 위치, 크기를 정보 시각화 구성 요소로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대 부분의 종합안내판은 표현 방법이 각자 상이하였으며 시장의 특징과는 관련이 없는 색채 사용과 함께 점포 의 위치와 판매 품목을 명시하기 위한 종합안내판으 로의 기능인 정보 전달의 역할이 매우 미흡하다는 문 제점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무분별한 설치를 지양하고 지역 내 전통시 장의 통합 아이덴티티를 적용하여 기본적인 매뉴얼과 지역 고유의 색채 및 문자를 적용한 통합 사인 시스 템 가이드라인을 개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시장 종합안내판 디자인의 방향 에 따른 역할과 기능의 중요성을 도출했으며, 분석한 결과는 향후 전통시장 사인 시스템 개발 진행 시 유 의미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전통시장 종합안내판의 기능
2.2. 정보 시각화의 개념 및 요소
2.3. 정보 시각화에 따른 분석 모형
3. 정선군 4개 전통시장 종합안내판 사례분석
3.1. 정선아리랑시장 사례
3.2. 임계사통팔달시장 사례
3.3. 사북시장 사례
3.4. 고한구공탄시장 사례
3.5. 분석 결과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소영 Kim, So Young. 강원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박사과정
  • 이은주 Lee, Eun Joo. 강원대학교 디자인학과 외래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