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인식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in Middle School

김희규, 주영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SSCA) in middle school and to derive improvement plans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We developed a survey tool consisting of 10 questions.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teachers and students from 102 middle schools sampled in stratification, and 491 teachers and 1104 students respond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degree that meets the purpose of the SSCA, the average value of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second,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 sports facilities was low. While the teaching ratio of SSCA instructors was high, the average of the teachers for instructors’ expertise was low. The student average of positive thinking about the SSCA was high, and for this reason, students suggested 'relieving stress' and 'improving exercise function'; and third, students suggested the need to expand the current 136-hour program. This study suggested strengthening the network between the local community and school, improving the working conditions of instructors, and revising the curriculum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s plans to activate and improve the SSCA.

한국어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편성·운영 현황 및 실태 분석과 교육행정 관점에서의 개선 방 안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 조사 도구와 연구 결과와 교육과정 전문가의 자 문에 기초하여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관한 전반적 인식, 운영 현황 및 인식, 시수 조정 방안 등 세 영역, 10개 문항으로 구성되는 설문 도구를 구안하였다. 설문은 2019년 기준 전국 3,231개 중학교 가 운데 시도, 설립 유형을 고려한 층화표집을 실시하여 표집된 102개교 학교 교사 및 학생을 대상으 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사 491명, 학생 1104명이 응답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정 리하면, ①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목적·취지에 맞는 편성·운영 정도에 대해 학생 평균값이 교사에 비하여 높게 산출되었다. ② 체육시설에 대한 교사의 만족도가 낮고, 종목 선정은 학교 현실 반영 정도가 높았다. 또한, 학교스포츠클럽 강사 지도 비율이 높은 반면, 지도자 전문성에 대한 교사 집단 의 평균값은 낮게 산출되었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관한 긍정적 생각 정도는 학생 집단의 평균 값이 높고, 그 이유로 학생들은 ‘스트레스 해소’ 다음으로 ‘운동 기능 향상’, ‘체력 증진 및 비만 예 방’ 등을 제시하였다. ③ 학생들은 현재의 136시간 편성의 확대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터하여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활성화 및 개선 방안으로 지역사회와 학교의 인적· 물적 네트워크 강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강사의 처우 개선,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개정 필요 등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조사 대상 및 방법
2. 조사 도구
3. 자료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관한 전반적 인식
2.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운영에 관한 인식
3.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시수 조정에 관한 인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희규 Kim, Hee-Kyu. 신라대학교 교수
  • 주영효 Joo, Young Hyeo. 경상국립대학교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