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코로나19 시기 수업 운영 현황과 과제 : 교원이 인식하는 어려움과 개선과제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Direction and Tasks for the Curriculum Operation during the COVID-19 : Focusing on the Difficulties and Needs of Teachers

이준희, 김시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of teachers who have prepared for and implemented remote and face-to-face learning after the wake of COVID-19 to draw implications for quality education at the time of the upcoming With Corona.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eachers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Gangwon Provi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recognized encouraging students to focus on learning as the most challenging task. Also, teachers had trouble with preparing for both remote and face-to-face classes at the same time. Second, when conducting synchronous classes, it was necessary to secure equipment and establish a stable internet connection in every student’s home. Third, teachers requested support such as providing guidelines to determine the rules of student attendance and guaranteeing school autonomy regarding the academic calendar. Fourth,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student’s educational disparities have been exacerb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om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한국어

본 연구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원격수업 및 대면수업을 준비하고, 실제 운영한 교원들의 경험을 살펴보고, 이들이 직면한 어려움, 지원 요구사항 등을 살펴봄으로써 위드코로나(With Corona)를 준비하는 시점에서 교육현장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강원도 초, 중,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 원들은 원격수업의 어려움으로 학생들의 수업 참여 독려의 어려움이 가장 크다고 인식하였 다. 또한 교사들은 대면수업을 하면서 원격수업과 대면수업을 모두 준비해야 하는 부담을 어 려움으로 꼽았다. 둘째, 실시간 쌍방향 화상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쌍방향 수업을 위한 기자재 확보, 학생들의 가정 내 기자재 및 인터넷 환경 구축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19 지속 시, 교원들은 병행수업을 위해 학교가 처한 상황에 맞는 등교와 원격수 업 결정 지침 제시와 학사일정 운영에 대한 학교 자율권 보장 등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교원들은 중하위권 학생들이 학습할 내용을 충분히 학습하였는지에 대해 전체 평균은 3점(보통이다)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학력 격차는 보다 심화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원의 원격수업 전문성 제고를 위한 학습공동체 활성화, 학생들 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제고, 안정적인 원격수업을 위한 인프라 구축, 학사일정 운영에 대한 학교 자율권 보장, 학습결손 및 학력격차 방지 등의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원격수업 개념 및 만족도 영향요인
2. 코로나19가 교육현장에 미친 영향과 관련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원격수업
2. 등교수업(또는 원격수업과 병행해서 수업)
3. 학생들의 학습정도 및 학력격차 심화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준희 Lee Junhee. 강원도교육연구원 정책연구팀장
  • 김시현 Kim Sihyun. 고려대학교 대학정책연구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