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계 고등학생의 교내·외 진로활동 만족도가 진로 인식을 매개로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s of Satisfac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Career Activities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on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Career Recognition

구성우, 김병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atisfac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career activities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on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career recognition.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igh school students with high satisfac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career activities have relatively high career recogni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Second, career recognition has been shown to be fu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career activities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other words, it was analyzed that the higher satisfac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career activities affects the improvement of career recognition, and the improved career recognition also affects the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Third, it was analyzed that satisfaction of internal career activities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career recognition improvement than satisfaction of external career activitie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article discussed the effects of satisfac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career activities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on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career recognition.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 고등학생의 교·내외 진로활동 만족도가 진로 인식을 매개로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 내·외 진로활동 만족도가 높은 고등학생은 진로 인식 및 자기주도학습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 인식은 교내·외 진로활동 만족도와 자기주도학습 관계에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내·외 진로활동 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 인식 향상에 영향을 미치고, 향상된 진로 인식은 자기주도학습 향상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교내 진로활동 만족도가 교외 진로활동 만족도보다 진로 인식 향상에 더 많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계 고등학생의 교내·외 진로활동 만족도가 진로 인식을 매개로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진로 및 진로 인식의 개념
2. 고등학교 교·내외 진로활동 현황 및 진로활동 만족도
3. 자기주도학습 개념
4. 변인 간의 관계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모형
3. 분석 변인
4. 측정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5. 분석 절차
Ⅳ. 분석 결과
1. 분석 변인의 기술통계
2. 진로활동 만족도 집단에 따른 진로 인식 및 자기주도학습 차이 검증 결과
3. 연구 모형 선정 및 분석 결과
4. 매개 효과 검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구성우 Gu, Seong Woo. 신한대학교 리나시타 교양대학, 조교수
  • 김병주 Kim, Byoung Joo. 영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