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공공기관 구성원의 개인-직무 적합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Influence of Public Institution Member’s Person-Job Fit on Innovative Work Behavior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신웅철, 조준, 윤동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looked at the effect of public institution member’s person-job fit on the innovative work behavior and the medial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the adjustment effect of self-efficacy in this relationship. It also validated the regulated intermediaries that considered both the process and the circumstances in which person-job fit led to the act of innov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changes in behavior for innovation in public institution, along with support for expansion of conformity theory, by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job fi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self-efficacy to enhance innovation work behavior. To this end, the survey data were distributed to 320 people working at A public authority to utilize part 275 of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person-job f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novative work behavior of public institution members. Second, psychological empowerment mediated the influence of public institution member’s person-job fit on the innovative work behavior. Third, self-efficacy adjusted the influence of individual-occupancy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Lastly,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controlled by self-efficacy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job fit and innovation behavior.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has expanded the scope of individual-obligation studies in the future by recogn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obligation variables and innovative work behaviors that have been researched in this country in relation to their relationship with several witnesses such a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turnover, and demonstrating the effect of the parameter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한국어

본 연구는 공공기관 구성원의 개인-직무 적합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 트의 매개효과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개인-직무 적합성이 혁신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 및 상황을 동시에 고려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혁신행동을 높이기 위한 개인-직무 적합성과 심리적 임파워먼트,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서 적합성 이론 확장의 뒷받침과 함께 공공조직 에서 혁신을 위한 행동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리라 예상한다. 이를 위해 A공공기관에 재직 중인 320명에게 설문자료를 배포하여 275부의 설문을 활용하였다.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직 무 적합성은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개인-직무 적합성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매개하였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개인-직무 적 합성이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인-직무 적합성과 혁신 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에 의해 조절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이직의도 같은 변인들과 제한적으로 연구된 개인-환경 적합성의 하위요소 중 하나인 개인-직무 적합성과 혁신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와 자기효능감의 조 절효과를 실증함으로써 향후 개인-직무 적합성 연구를 확장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2.1 개인-직무 적합성과 혁신행동의 관계
2.2 개인-직무 적합성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관계
2.3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혁신행동의 관계
2.4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2.5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2.6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Ⅲ.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3.2 표본 및 자료수집
3.3 측정도구
Ⅳ. 분석결과
4.1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4.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4.3 가설검증
Ⅴ. 결론
5.1 연구결과 및 이론적 시사점
5.2 기업경영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
5.3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웅철 Woong-Chul, Shin. 한국산업인력공단 과장
  • 조준 Jun, Cho. 한국산업인력공단 과장
  • 윤동열 Dong-Yeol, Yoon. 건국대학교 경영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