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상생활활동의 중요도 및 만족도에 대한 작업치료사와 보호자간 비교연구 : IPA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between Occupational Therapists and Carer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 Focused on IPA

곽나임, 이춘엽, 홍기훈, 김지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is study compared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ought by occupational therapists and carer. Methods : This study surveyed 150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hospitals and 90 carers of patients receiving occupational therapy at hospitals. The questionnaire was organized based on the contents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cluded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3rd Edition (OTPF-3rd Edition),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Results : Keep up the good work items with high importance occupational therapists and high satisfaction of carers were found to be factors such as bathing/showering, dressing, swallowing/eating, feeding, functional mobility, personal hygiene, grooming, care of others, communication management, driving and community mobility, meal preparation, and cleanup. Intensive effort area items with high importance occupational therapists and low satisfaction of carers were found to be factors such as toilet use and hygiene, personal device care, and safety and emergency maintenance. Low priority items with low importance occupational therapists and low satisfaction of carers were sexual activity, care of pets, child rearing, financial management, health management and maintenance, hom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and shopping. There were no possible overkill items with low importance occupational therapists and high satisfaction. Conclusion : By comparing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carers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is study provided the necessary evidence for occupational therapists to consider the priority of treatment when activities of daily living training.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patients and carers with occupational therapy by providing more efficient treatment.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와 보호자가 생각하는 일상생활활동의 중요도 및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 150명과 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보호자 90명 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작업치료실행체계(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3rd edition; OTPF-3rd edition)에 포함된 일상생활활동훈련치료의 내용을 기준으로 항목을 구성하였으며, 결과는 중요도-만족 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결과 :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중요도가 높으면서 보호자의 만족도도 높은 지속유지 항목은 목욕·샤워하기, 옷 입기, 먹기, 식사하기, 기능적 이동, 몸단장, 타인 돌보기, 의사소통 관리, 운전 및 지역사회 이동, 식사 준비와 정리 요인으로 나타났다. 작업치료사의 중요도가 높지만 보호자의 만족도는 낮은 집중노력 영역 항목은 화장실 사 용 및 위생, 개인 용품 관리, 안전 및 응급상황 관리 요인으로 나타났다. 작업치료사의 중요도와 보호자의 만족도 모두 낮은 점진개선 항목은 성적 활동, 반려동물 돌보기, 아이 양육, 재정 관리, 건강관리 및 유지, 집안 관리 및 유지, 쇼핑 요인으로 나타났다. 작업치료사의 중요도는 낮게 인식하고 있으나 보호자의 만족도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는 과잉 항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작업치료사와 보호자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비교함으로써 향후 작업치료사가 일상생활활동훈련 치료 시 치료의 우선순위를 고려할 때 필요한 근거자료를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치료 제공으로 환자 및 보호자의 작업치료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및 기간
2. 분석도구
3. 연구 절차
4.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특성
2. 일상생활활동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한 작업치료사와 보호자간 비교
3.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중요도와 보호자의 만족도에 대한 IPA 비교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곽나임 Kwak, Na-Im. 더자람아동청소년발달센터 작업치료사
  • 이춘엽 Lee, Chun-Yeop.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 홍기훈 Hong, Ki-Hoon.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 김지훈 Kim, Ji-Hoon.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