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노인일자리전담기관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의 관계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abor and the Job Satisfaction of Workers in Senior Employment Agencies :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이병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abor and the job satisfaction of workers in senior employment agencies. And this paper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the both variables. We conducted a survey of 261 employees of the 21 agencies in Daejeon and Chungcheong area. According to the analysis : 1) employees’ emotional labor influenced job satisfaction negatively. 2) the self-efficacy mediated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we need to establish a management system for emotional labor, to carry out a crisis intervention of prompt therapy, and to provide education to cope with emotional labor for decreasing the emotional labor. It is important to lower the proportion of irregular workers, to improve the level of treatment, and cultivate self-leadership for promoting self-efficacy.

한국어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전담기관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 하였다. 대전과 충청 지역에 소재한 21개 노인일자리전담기관의 종사자 2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 석은 SPSS/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노인일자리전담기관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의 관계, 그리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 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노인일자리전담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몇 가지 방안 을 제안하였다. 노인일자리전담기관 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종합적인 감정노동의 관리시스템의 구축, 감정노동을 호소하는 종사자들에게 대한 신속한 상담치료 등과 감정노동에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을 개발해야 한다. 종사자들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비정규직 비율의 감소, 처우수준의 개선, 셀프리더십의 배양 등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조사대상 및 조사과정
2.2 측정도구
2.3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변수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3.2 모형의 검증
3.3 구조모형의 분석결과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병록 Byoung-Rock Lee. 건양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