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성인학습자의 삶의 의미와 학업만족과의 관계: 학업열의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of Life and Academic Satisfaction of Adult Learners: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김은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of life and academic engagement as a factor that affects the academic satisfaction of online learners in adultho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8 adult learners enrolled in cyber university. For data analysis, Spss 23 and PROCESS Macro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eaning of life, academic satisfaction and academic engagement,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atisfaction and academic engagement.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direct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direct effect between the meaning of lif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academic engagement as a mediating variable was positive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direct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of life and academic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 Through insight into the meaning of life in diddle age, students show engagement for their studies, which leads to academic satisfaction.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academic satisfaction of adult learner,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actical education program and a motivation program that can find the meaning of life.

한국어

본 연구는 성인기의 온라인 학습자의 학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삶의 의미와 학업열의가 어떠 한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사이버대학교에 재학중인 148명의 성인학습자였다. 자료분 석을 위해 SPSS 23.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상관분석결과 삶의 의미와 학업만족, 학업열의 간에 유 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학업만족과 학업열의 간에도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학업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를 확인해 본 결과, 독립변인인 삶의 의미와 매개변인인 학업열의와의 직접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삶의 의미와 학업만족과의 관계에서 학업열의의 간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매개효과는 유의미 하였다. 중년기의 삶 의 의미에 대한 통찰을 통해서 학업에 열의를 보이고 이는 학업만족으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성인학습자 의 학업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동기화 프로그램을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방법
2.1 연구대상
2.2 측정도구
2.3. 분석방법
3. 결과
3.1 주요 변인 간 상관
3.2 매개효과 검증
4. 논의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은미 Eun Mi Kim. 건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