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공공역사’에 기초한 학교 역사교육으로의 변화 가능성 탐색

원문정보

Suggestion Direction of history education in school based on 'Public History'

손석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history researchers are paying attention to the concept of "public history" to reflect on the history enjoyed and experienced by citizens through various media and as part of the reflection on the enlightenment attitude held by professional historians. In the history education research, there are also movements to seek a new direction of history education based on this concept. Based on these previous research achievements, this study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critical reflection on the practice and research of existing school history education through public history and attempts to find new principles of school history education. The concept of public history is fluid. However, it is a practice that leads people to the process of creating their own history in the process of doing history and a concept that encompasses the expression of hot interest in history or desire for history in civil society. This conceptual foundation of public history can be a mirror of what our history education is doing and can do. Public history raises the topic of reflection on the existing enlightenment attitudes held by historians and history educators and how to participate with citizens to making history. In the terms of public history, school history education is a platform of historical consciousness possessed by teachers and students,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venue for 'historical imagination' by encountering diversity in historical consciousness. School history education as a platform for public history will be a process of treating history as a phenomenon that appears in our lives and reflecting on our current historical consciousness by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without being bound by national history or history of the times. School history education needs to help citizens realize that they are involved in the past and develop a "historical truthfulness" that can seriously examine the pattern of implic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subjects. History teachers as designers of classes dealing with public history can be in charge of mediating between various public history and specialized history that students encounter as public history. In addition, a history class is organized so that students can reveal and display their own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helps them present and appropriate history in their own way. To this end, classes can be designed so that students can implement 'representation of past' in various forms in their own way. As a public historian practicing such public history, history teacher's expertise can be found in the process of "reflective practice" that defines problem situations based on constant reflection on the society and learning context surrounding students and teachers, implements them as a specific educational situation. Even without being aware of the concept of public history, classes dealing with public history were being practiced in the school. In order to realize such history class dealing with public history through school history education, and to secure the autonomy of history teachers as public historian, first, critical reflection of the organizing process of national history curriculum is needed. Second, as a new attempt, it is necessary to keep in mind the creation of specific subjects capable of history classes dealing with public history. Third, it is necessary to deal with the concept and practice of 'public history' in the preservice teacher and teacher on active service training curriculum.

한국어

최근 역사학계에서는 전문 역사학자들이 가지고 있던 계몽주의적인 태도 에 대한 반성의 일환이자 다양한 매체를 통해 시민들이 향유하고 체험하는 역사에 대한 성찰을 위해 ‘공공역사’라는 개념에 주목하고 있다. 역사교육계 에서도 ‘공공역사’를 토대로 새로운 역사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움직임들이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 성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공공역사를 통해 기존의 학교 역사교육 실천과 연구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과 보다 구체적인 학교 역사교육의 새로운 구성 원리의 모색을 시도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공공역사의 개념은 유동적이다. 그러나 역사가 구성되는 과정 속에서 자 신들의 역사를 창조하는 과정으로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실천이자 시민 사회 에서 일어나고 있는 역사에 대한 뜨거운 관심이나 역사에 대한 공적 욕망의 발현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역사학의 연구대상이 되는 특별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공공역사라는 개념적 토대는 우리의 역사교육이 무엇을 하고 있고, 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거울이 될 수 있다. 공공역사는 역사학자 및 역사교육 자들이 가지고 있던 기존의 계몽주의적인 태도에 대한 성찰과 어떻게 ‘함께’ 시민들과 고민하고 역사에 대한 바람직한 참여로 시민들을 유도할 것인가에 대한 화두를 던진다. 공공역사의 관점에서 비추어보았을 때 학교 역사교육은 교사와 학생들이 향유하는 역사의식의 플랫폼으로서 역사의식의 차이를 교재화하여 ‘역사적 상상’의 장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공공역사의 플랫폼으로서의 학교 역사교 육은 역사를 우리 삶에서 나타나는 하나의 현상으로 바라보고, 국가사나 시대사에 얽매이지 않은 채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현재 우리의 역사의식을 성 찰하는 과정이 될 것이다. 학교 역사교육은 시민들이 누구나 과거에 연루되 어 살고 있는 존재임을 자각하는 것을 돕고, 연루의 양상과 그 속의 다양한 주 체들 간의 관계를 진지하게 살필 수 있는 ‘역사적 진지함’을 갖추도록 나아갈 필요가 있다. 공공역사를 다루는 수업의 설계자로서의 역사교사는 공공역사가로서 학 생들이 접하는 다양한 역사와 전문 역사학 간의 매개와 중재를 담당할 수 있 다. 그리고 학생들이 각자의 역사의식을 드러내고 전시할 수 있도록 역사교 실을 구성하며 역사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현재화하여 전유할 수 있도록 돕는 다. 이를 위해 학생들이 자신만의 방식으로 ‘과거의 현재화’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할 수 있다. 공공역사를 실천하는 공공역사가 로서 역사교사의 전문성은 학생과 교사 자신을 둘러싼 사회와 학습 맥락에 대한 끊임없는 성찰을 토대로 문제 상황을 규정하고, 이를 역사수업이라고 하는 구체적인 교육상황으로 구현하며 이 구현 과정을 다양한 주체들과 함께 협력하여 끊임없이 반성하고 수정해나가는 ‘반성적 실천’ 과정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공공역사라는 개념이 인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공공역사를 다루는 수업 들은 학교 현장에서 실천되고 있었다. 학교 역사교육을 통해 공공역사를 다 루는 역사수업이 구현 가능하기 위해서는, 또 공공역사가로서의 역사교사의 전문성을 담보하는 역사교사의 자율성 확보를 위해서는 첫째, 역사과 국가교 육과정의 구성 원리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권력 주체들의 비판적 성찰 이 필요하다. 둘째, 새로운 시도로서 공공역사를 다루는 역사수업이 가능한 구체적인 과목을 창설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 양성 교육과정과 교사 재교육과정에서 ‘공공역사’의 개념을 다루고, 실제 공공역사 실천에 참여해보고 , 실천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공공역사의 실천 장(場), 역사교실
Ⅲ. 공공역사가로서의 역사 교사
Ⅳ. 공공역사에 기초한 학교 역사교육을 위한 과제와 제언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손석영 Son, Seok-Young. 동국대학교 역사교육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1,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