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교육의 병리학 - 교육철학적 접근

원문정보

The Pathology of the Schooling in Korea - An Educational-Philosophical Approach

조상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discourse which has dominated the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is oriented into the normal state. As the educational theories intend to a positive and unilinear progressiveness in the normative perspective, so the educational practices aim at laying the surmountable educational problems and at their next state. In principle, it is a scientific characteristic and original ground of education. The schooling in Korea is in serious danger to extent which it can not be already handled in the duality between prognosis and prescription of problems. The interested parties such as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in Korea are suffering nor only a severe pain in the family budget economy, but also in the mental health. In order to search for problem solving of Korean schooling, the pathological approach to it is needed to determine. From this viewpoint, to criticize the Korean schooling is realistic and truthful intellectually. Though the critical theory named 'Frankfurt school' is very useful and has supplied valuable power of explanations up to now to understand the Korean schooling, it has been repeatedly pointed the elitist and contemplative traits to educational realities which come from the propertise of the grand narrative. But the theoretical model 'struggle for recognition' as the theory of the third generation in the tradition of critical theory may be able to conviction, in a regard that the main interested party in school is the growing generation and the school is the space the mechanism of social psychology operates. This article tries to find ways to explain the pathological dimensions of Korea schooling.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지배하는 담론은 정상태(正常態)에 입 각한 교육적 진단과 처방이다. 교육이론이 규범적인 관점에서 긍정적이고 단선적인 진보를 지향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교 육의 실천도 극복해야할 문제를 상정하고 그 이후의 상태를 지 향한다. 이는 교육학의 학문적 속성이면서 태생적 근거이기도 하다. 한국교육의 문제는 이미 문제의 진단과 극복이라는 이분 법적 관점으로는 다룰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한 위기국면에 있다. 교육의 당사자들,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 경제적 고통뿐만 아 니라 정신건강의 차원에서도 심각한 병리적 상황에 처해 있다. 교육문제의 해법을 모색하는 데에 있어서도 병리적인 접근이 요 구된다. 이러한 전제에서 한국교육을 비판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현실적이며, 지적으로도 정직한 태도이다. 한국교육의 문제를 이 해하는 데 비판이론이 유용한 관점이긴 하지만, 그 동안 비판이 론은 거대담론적인 특성의 한계에서 오는 현실 문제에 대한 엘 리트주의적이고 관조적인 측면이 지적되어 왔다. 하지만 학교교 육의 당사자들이 자라나는 세대이고 사회심리적 역동성이 작동 되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비판이론의 제3세대 접근인 인정투쟁은 유용한 설명 모델이 될 수 있다. 논문은 인정투쟁의 이론적 관 점에서 한국교육문제에 대한 병리적인 접근을 하는 시론이기도 하다.

목차

요약
I. 서론: 정상태(正常態)를 지향하는 교육학
II. 한국교육의 병리적 측면
III. 진단과 해법의 실패
IV. 결론: 학교공동체의 규범적 토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상식 Cho, Sang-Sik. 동국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