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플립러닝 학습법을 통한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수업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task value, and class participation of college students on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flip learning

주현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task value, behavioral participation, cognitive participation, emotional participation, and initiative particip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in 462 college students who took a flip learning class. Results, As for the direct effect of variables affecting learning satisfaction, behavioral participation was the largest factor, followed by initiative participation, task value, emotional particip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se variables explained 86% of learning satisfac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task value had an indirec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behavioral, emotional, and proactive participation. In the multi-group moderating effect with the upper-middle class (B+ or higher) and the lower-middle class (below B) group as the moderating variables, there was a partial moderating effect because the path coefficients of leading particip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differed between the groups. It is necessary to seek various ways to increase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to develop an intervention strategy through a program tailored to each individual.

한국어

본 연구는 플립러닝 수업을 진행한 대학생 462명을 대상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행동적 참여도, 인 지적 참여도, 정서적 참여도, 주도적 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모형을 검정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직접효과는 행동적 참여도가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 주도적 참여도, 과제가치, 정서적 참여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인들은 학습만족도를 86% 설명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과제가치는 행동적 참여도, 정서적 참여도, 주도적 참여도를 통한 학습만족도에 간 접효과가 있었다. 둘째, 성적이 중상위권(B+이상) 집단과 중하위권(B이하) 집단을 조절변수로 하는 다중집단 조절효 과에서 주도적 참여도와 학습만족도의 경로계수가 집단간 차이가 있어 부분조절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학습수준과 학업관심도에 따라 학습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모색과 개인별 맞 춤형 학습적응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전략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자료수집 방법
5.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주요변인의 서술적 통계 및 다중공선성 분석
3. 측정모형의 검정
4. 가설적 모형의 검정
5. 다중집단 구조모형 분석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주현정 Hyeon Jeong Ju. 정회원,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