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EPU 및 ESI가 기업의 레버리지와 투자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Do EPU and ESI Affect Corporate Leverage and Investment?

이현석, 정미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Economic Policy Uncertainty(EPU) and Economic Sentiment Indicator(ESI) on corporate leverage and investment. The analysis period is from 2003 to 2019, and the analysis target companies are KOSPI and KOSDAQ non-financial listed companies. We also analyzed whether the two indices had differences by industry.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the entire industry, it was found that an increase in EPU lowers corporate leverage, and an increase in ESI increases corporate leverage. These results are more evident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science and technology industry’, and the effects of EPU and ESI were relatively insignificant in the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industry’. The effect of EPU and ESI on corporate investment was found to be in the same direction as leverage. In other words, as EPU increases and ESI decreases, corporate investment decreases. The abov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if the government removes the uncertainty of economic policy or if both producers and consumers can have a psychologically positive economic outlook, corporate investment and borrowing for this can increase as well.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 consistent policy direction to eliminate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for producers and consum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anage so that the outcome of the policy is predictable.

한국어

본 연구는 경제정책 불확실성(EPU: Economic Policy Uncertainty)과 경제심리지수(ESI; Economic Sentiment Indicator)가 기업의 레버리지와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기간은 2003년부터 2019년까지이며, 분석 대상 기업은 KOSPI 및 KOSDAQ 비금융 상장기업이다. 또한 두 개의 지수가 산업별 차이를 갖는지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전체 산업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EPU의 증가는 기업의 레버리지를 낮추며, ESI의 증가는 기업의 레버리지 를 높이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제조업’과 ‘과학기술업’에서 보다 확연히 나타나고 있으며 ‘방송 통신업’에서는 상대적으로 EPU와 ESI의 영향이 명확히 나타나지 않았다. EPU와 ESI가 기업의 투자에 미치는 영향은 레버리지와 동일한 방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EPU가 증가하면 기업의 투자는 감소하며, ESI의 증가 는 기업의 투자를 증가시키고 있다. 이상의 실증 결과는 정부가 경제정책의 불확실성을 제거해주거나 혹은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심리적으로 긍정적 경제 전망을 할 수 있도록 하면 기업의 투자도 증가하고 이를 위한 차입도 증가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부가 생산자와 소비자가 갖는 미래의 불확실성을 제거할 수 있도록 예측 가능한 정책 방향을 수립해야 하며, 또한 그 정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꾸준한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도입
Ⅱ. 이론적 배경
Ⅲ. 자료 및 변수의 설정
3.1 경제정책 불확실성
3.2 경제심리지수
3.3 EPU와 ESI의 월별 추이 비교
3.4 연구모형
Ⅳ. 실증분석 및 결과
4.1 변수의 기초통계
4.2 연구결과
4.3 산업별 분석
4.4 기업 투자에 미치는 영향
Ⅴ. 요약 및 시사점
5.1 연구 요약 및 이론적 시사점
5.2 기업경영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현석 Lee, Hyon Sok. 성신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영학부 교수
  • 정미화 Chung, Mi Hwa. 성신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영학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