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부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측두하악장애 자각증상 관련 영향요인

원문정보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ive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지민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awarenes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high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asy-to-access program to help the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For data collection, convenience sampling was performed among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in Daejeon and North Jeolla Province to complete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December 1 to 30, 2019.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ral parafunctional habi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rait anxiety and both of them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ceive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the awareness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high school students were oral parafunctional habits, health habits, and trait anxiety. It is necessary to make positive communication and intervention, which meets high school age, in coping well with anxiety and managing oral parafunctional habits and apply an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that involves socio-psychological efforts to prevent them.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측두하악장애 자각증상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측두하악 건강관리에 있어 도움이 되는 접근성이 용이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12월 1일부터 30일까지 대전 ·전북지역의 일부 인문계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추출하여 자기기입식방법으로 설문을 작성하였다. 통계분석은 t-검정, 일원 분산분석법, 피어슨 상관관계로 분석하였고,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강 악습관과 특성불안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측두하악장애 자각증상과도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특성불안은 측두하악장애 자각증상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 냈다. 고등학생들의 측두하악장애 자각증상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강 악습관, 건강습관, 특성불안으로 나타났다. 이에 고등학생들의 시기에 맞는 적절한 불안 대처 및 구강 악습관 관리에 적극적인 소통과 개입이 요구되며, 더불어 사전예방할 수 있는 사회심리적 대응을 접목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적용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3 연구도구
2.4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연구대상자에게 사용한 변수의 특성
3.2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3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 악습관, 특성불안, 측두하악장애 자각증상
3.4 연구대상자의 구강 악습관, 특성불안, 측두하악장애 자각증상 간의 상관관계
3.5 연구대상자의 측두하악장애 자각증상의 영향요인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지민경 Min-Gyeong Ji. 호원대학교 치위생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