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항공사 안전풍토가 객실승무원의 안전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상사 및 동료신뢰의 매개효과 -

원문정보

The Impact of Airline Safety Climate on Safety Citizenship Behavior of Cabin Crew - Mediating Effect of Manager and Peer Trust -

권미희, 강희경, 최수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we intend to pres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promotion of safety citizen behavior of airline cabin crew by verifying the impact of safety climate on safety citizen behavior of cabin crew members and verifying the mediated effect of tru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airline safety climate can improve cabin crew's proactive and pro-social safety behavior, and to see if interpersonal trust (manager and peer trust) can mediate the relationship.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we intend to conduct literature and empirical surveys and analyses to present implications and research directions for strengthening safety citizen behavior in an organizational context and improving field safety.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set as safety climate, the mediating variables are set as manager trust and peer trust, and the dependent variables are set as safety citizenship behavior. Safety climate was measured by management value and safety training,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by dividing them into two types: proactive safety behavior and pro-social safety behavior.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43 cabin crew members of low-cost domestic airlines (LCC) airlines. Measurement tools were verified through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hypothesis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using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techniques. The hypothesis examinatio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Both the impact of management value and safety training on proactive safety behavior and pro-social safety behavi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diating effect showed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dependent variable. Manager trust and peer trust in the impact of management value and safety training on proactive safety behavior showed partial effect. On the other hand, in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on the effects of management value and safety training on pro-social safety behavior, manager trust has no mediating effect and only peer confidence has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in the conclusions and research limit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erive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의 직장 내 안전풍토가 객실승무원의 안전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신뢰 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안전시민행동 도모를 위한 이론적·실무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사 안전풍토가 객실승무원의 능동적이고 친사회적인 안전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파악하는데 있으며 신뢰 중 대인 간 신뢰(상사·동료신뢰)가 그 관계를 매개할 수 있는 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및 실증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여 조직적 맥락에서 안전시민 행동을 강화하고 현장 안전을 개선할 수 있는 시사점과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독립변수로는 안전풍토, 매개변수는 상사신뢰와 동료신뢰, 종속변수는 안전시민행동으로 설정하였다. 안 전풍토는 경영가치와 교육훈련으로 측정하였고, 종속변수는 능동적 안전행동과 친사회적 안전행동으로 나 누어 측정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국내 저비용항공사(LCC) 항공사 객실승무원 24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을 통해 측정도구를 검증하였고,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과 붓스트래핑 기법을 활용하여 가설검증을 진행하였다. 가설검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안전풍토의 하 위변수인 경영가치와 교육훈련이 능동적 안전행동 및 친사회적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는 종속변수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경영가치와 교육훈련이 능 동적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상사신뢰와 동료신뢰는 부분매개를 나타내었다. 반면, 경영가치와 교 육훈련이 친사회적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신뢰의 매개효과에서, 상사신뢰는 매개효과가 없으며 동료신뢰만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에서 이론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연구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도출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안전풍토
2. 안전시민행동
3. 신뢰
Ⅲ. 연구설계
1. 가설설정 및 연구모형
2.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도구
Ⅳ. 실증연구
1. 자료수집 및 표본의 특성
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3. 상관관계 분석
4. 가설검증
Ⅴ. 결론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권미희 Kwon, Mi-Hee. 부산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석사
  • 강희경 Kang, Hee-Kyung. 부산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강사
  • 최수형 Choi, Su-Heyong. 부산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