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독교교육과 상담의 담론지형과 쟁점연구 : 학술논문의 주제와 연구방법에 대한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Discourse and Issues in Christian Education and Counseling : Focusing on Meta-Analysis on the Topics and Research Methods of Academic Theses

박미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plan face-to-face worship or assembly-type evangelism due to the continuation of the corona pandemic, it seems that evangelism is not a way to present the gospel, but to strengthen the gospel life. This is the era of evangelism as a spiritual care where the church can comfort those who are struggling and share the gospel naturally by accompanying them, and the time has come to set and practice various ministry directions that combine Christian education and counseling.At this time, this paper aims to analyze not only in the area of ​​counseling, but also studies and papers on professional ministry through a convergence and complex approach between Christian education and counseling. This study focused on the papers on practical trials and cases. The research contents to be dealt with include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counseling in Christian education, the application of counseling as various Christian education methods,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necessary for the field.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kind of trend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developed in advance show, what kind of trend characteristics research methodologies were used in the preceding studies, and what are the issues and tasks of Christian education and counseling based on the subject and method analysis.This study aims to analyze various influences on Korean society by meta-analyzing the discourse and issues of Christian education and counseling developed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and suggest the convergence and direction of counseling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future. First, many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lay a systematic and clearer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convergence and complex approach of Christian education and counseling. Second, various studies on the understanding and psychological evaluation of learners based on psychology should be conducted. Finally, research on various counseling techniques should be conducted in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and in particular, various studies on the application and practice of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using basic counseling theory should be conducted. The author also hope that studies on effectiveness verification based on utilization cases will be actively carried out to develop counseling programs that can help our neighbors who are struggling during the COVID-19 era and provide direction for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한국어

코로나19 팬데믹의 지속으로 대면예배나 집회형 전도를 계획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이제 전도는 복음을 제시하는 방식이 아니라 복음적 삶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이것은 힘들어하는 이들을 교회가 위로해주고 동행함으로 복음을 자연스럽게 나눌 수 있는 영적 돌봄으로서의 전도의 시대가 온 것이며, 기독교교육과 상담을 접목한 다양한 사역의 방향을 설정하고 실천해야 할 때가 도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시기에 본 논문은 상담의 영역만이 아니라 기독교교육과 상담의 융·복합적 접근을 통한 전문사역에 관한 연구와 논문들을 분석하여 하여 기독교교육에서 상담을 적용한 선행연구나 기독교교육과 상담의 융·복합적인 시도 또는 사례에 관한 논문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다루어질 연구 내용으로는 기독교교육에서 상담의 개념 및 이해, 다양한 기독교교육방법으로서의 상담의 적용, 현장에 필요한 프로그램의 개발 등이다. 또한 선행적으로 개발된 주제들은 어떠한 경향적 특징을 나타내는지, 선행 연구들은 어떠한 경향적 특징의 연구방법론들을 사용하였는지, 주제와 방법론 분석에 근거한 기독교교육과 상담의 쟁점과 과제는 무엇인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내 기독교교육 분야에서 전개된 기독교교육 및 상담의 담론지형과 쟁점들, 그리고 그의 경향과 영향력에 선행된 연구논문들을 중심으로 메타분석 함으로써 한국사회에 끼친 다양한 영향력을 분석하여 미래의 기독교교육 분야에서 상담의 융·복합적 접근과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기독교교육과 상담의 융·복합적인 접근에 관하여 체계적이고 보다 명료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심리학을 기초로 한 학습자의 이해 및 심리평가에 관한 연구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독교교육상담에서 다양한 상담기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하고, 특히 기초상담이론을 활용한 기독교교육상담의 적용과 실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활용사례를 근거로 효과성 검증에 관련한 연구들 또한 활발하게 진행되어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힘들어하는 우리의 이웃들을 보듬을 수 있는 상담프로그램이 개발되고 기독교교육상담의 방향성이 제시되기를 희망한다.

목차

한글 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고찰
1. 기독교교육과 상담의 융·복합적 연계에 대한 필요성
2. 융·복합적인 기독교교육과 상담의 특징과 목표
3. 융·복합적 기독교교육상담에 대한 선행연구고찰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선정의 방법
2. 자료 분석의 방법
3. 분석 대상의 선정
Ⅳ. 연구분석 결과
1. 기독교교육상담관련 연구의 주제들은 어떠한 경향적 특징을나타내는가?
2. 기독교교육상담관련 연구들은 어떠한 연구방법론들을 사용했는가?
3. 주제와 방법론 분석에 근거한 연구의 현실적 쟁점과 미래적과제는 무엇인가?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미라 Mila Park. 성결대학교/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