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미디어를 활용한 미술치료의 정서적 교류와 표현의 특이성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Emotional Exchanges and Unique Expressions of Art Therapy Using Media

한주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ituation of COVID-19, which encourages untact, has caused changes of accessibility and formal expansion of sense in art therap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unique features of emotional and sensory experiences in the media environment that affect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in media art therapy. Distinct elements of online media such as telepresence and interactivity have multi-dimensional influences on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Modern media is a participatory system in which users carry out actions: they become the agents who create the structure, form, content and meaning of the system. Entailing artificial telepresence mediated by interactivity, the spatio-temporal experience in a virtual space produces ambivalent sense and emotional distance between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Then, the client's affective body directly accepts and reacts to every perception of sense and presence in the virtual space where all senses conflate. The ambivalent emotions in a virtual space such as insensibility-immersion, omnipotence-hopelessness, and divisionintegration contribute both to pathological symptoms and treatment. The advantage of the virtual space as a therapy room is that clients can accept and express their psychological ambivalence and embrace as playful acts anomalies and transformations against the suppression of the existing representation system.

한국어

비접촉을 권장하는 COVID-19 의 상황은 미술치료의 접근성의 변화와 감각 형식적 확장을 가져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미술치료의 소통과 미술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미디어 환경 의 정서와 감각경험의 특이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미디어를 통한 소통과 표현은 원격현전과 상호작용성이라는 요소를 통해 다각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현대 미디어란 사용자가 행위를 만 드는 주체가 되는 참여 시스템으로, 사용자는 시스템의 구조와 형식, 내용과 의미를 창조하는 적극적인 주체이다. 가상공간의 시공간적 경험은 상호작용성으로 조성된 가공되고 매개된 원격 현전의 경험으로, 분리된 동시에 연결된 이중적인 정서와 감정적 거리를 생산한다. 한편, 내담 자의 신체는 정념적 신체로서 총체 감각을 융합하는 가상공간의 모든 감각과 현전의 지각을 직접적으로 받아들이고 반응한다. 무감각과 몰입, 전능감과 무망감, 분열성과 통합성과 같은 가 상공간의 양가적 정서는 병리적 증상과 치료에 동시에 기여한다. 치료실로 기능하는 가상공간 의 가능성은 내담자의 심리내적인 양가적 요소를 수용하고 발현하며, 기존 재현 체계의 억압에 서 벗어난 변칙과 변용을 유희적 행위로서 포용하는 데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원격현전의 정서
1. 원격지각: 정서의 분리와 연결
2. 화면의 특징과 분열된 자아상
Ⅲ. 상호작용성의 정서
1. 유희적 놀이로써의 상호작용성
2. 양가적 개념의 수용과 발현
Ⅳ. 표현의 역동성: 총체감각의 몰입과 비선형적 진행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주연 Han, Joo-Yeun.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