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간호대학생의 두뇌 우성 사고 유형과 공감 능력 간의 관계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 and empathy ability of nursing students

구상미, 장우심, 김래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ain dominant thinking type and empathy ability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90 students enrolled in the 3rd year of the nursing department, who were subjected to Herrmann's BDI as a brain dominant thinking type test. The empathy test was conducted using the Interpersonal Response Index(IRI) adapted by Park(2004). For data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variate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dominant brain thinking type of nursing students was in quadrant C the most.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brain dominance type and empathy in the C quadrant(r=.38) and D quadrant(r=.54). The overall empathy ability was highest in the D quadrant,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empathy ability according to the brain dominant thinking type(F=4.95, p<.01).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be used in theoretical and practical education for nurse nurturing to improve empathy ability of nursing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두뇌 우성 사고 유형과 공감 능력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간호 학과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 총 90명으로 이들에게 두뇌 우성 사고 유형 검사로 Herrmann의 BDI를 실시하였 고, 공감 능력 검사는 박성희(2004)가 번안한 대인관계 반응지수(IRI)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Pearson 상관분 석과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간호대학생의 두뇌우성사고 유형은 C사분면이 가장 많았으며. 두뇌 우성유형과 공감 능력간의 관계는 C사분면(r=.38)과 D사분면(r=.5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관계가 있었다. 전체 공감 능력은 D사분면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뇌 우성 사고 유형에 따라 전체 공감 능력은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4.95, p<.01).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공감 능력 향상을 위해 간호사 양성을 위한 이론 및 실습교육에 활용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도구
2.3 자료수집 및 기간
2.4 자료 분석
3. 연구 결과
3.1 연구대상자의 두뇌 우성 사고 유형 분포
3.2 두뇌 우성 사고 유형과 공감 능력 정도
3.3 두뇌 우성 사고 유형과 공감 능력 간의 관계
3.4 두뇌 우성 사고 유형에 따른 공감 능력의 차이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구상미 Sang-Mee Koo. 유원대학교 간호학과
  • 장우심 Woo-Shim Chang. 유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부
  • 김래은 Rae-Eun Kim. 유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