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The Effects of Online-based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rough Key Words Card Production and Class Demonstration on Job Preparation Skills for Workplace of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원문정보

핵심어 카드 제작 및 수업시연 온라인 평생교육프로그램이 시간제 발달장애 근로자의 직장출근준비기술에 미치는 효과

Young-Jun Kim, Ryang-Hee Kwo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online lifelong education program which is a key words card production and demonstration on the job preparation skills for work for part-time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developmental disabilities workers working in a restaurant business on a part-time basis, and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was composed of the home and subway stations where they reside. The study method used a single subject study, and the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were reflected as the design conditions of the experiment. As a result, the subjects of the study effectively acquired and maintained the job preparation skills for work work through the online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the production and demonstration of key words card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discuss and conclude that the significant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is valid.

한국어

본 연구는 핵심어 카드 제작 및 수업시연 온라인 평생교육프로그램이 시간제 발달장애 근로자의 직장출근준비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시간제로 식당사업체에 근무하고 있는 세 명의 발달장애 근로자들이며, 이들이 거주하는 가정과 지하철역을 실험 환경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방법은 단일대상연 구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기초선, 중재, 유지를 실험의 설계 조건으로 반영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들은 핵심 어 카드 제작 및 수업시연 온라인 평생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직장출근준비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 및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구성된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이 상호간에 갖는 유의미한 기능적 관계가 타당하 다는 측면을 논의 및 결론지을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요약
1. Introduction
1.1 The Needs and Objectives of Research
2. Method
2.1 Research Subject
2.2 Research Design
2.3 Research Environment
2.4 Composition of Target Behavior
2.5 The Composition of Independent Variables
2.6 Data Measurement
2.7 Interobserver Reliability
2.8 Intervention Fidelity
2.9 Social Validity
3. Results
4.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저자정보

  • Young-Jun Kim 김영준. Researcher, Center f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Duksung Women’s University
  • Ryang-Hee Kwon 권량희. Professor,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Busan Digital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