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책

비형식과학교육과 포괄적학습성과의 메타연구 : 최근 10년간의 발표논문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meta-study of Informal Science Learning and Generic Learning Outcomes : Focusing on published papers in the last 10 years

조익형, 유연우, 나관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espite the importance of science education in an informal environment,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a lack of trend analysis research on 'Informal Science Learning (ISL)' and its effec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educational effects of ISL and how to use it, and to provide guidelines for future ISL research directions. This study classifies specific ISL-related papers published from 2010 to 2019 and compares them with each element of GLO us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informal education. The fit of the analyzed data was checked for each part through SPSS and Chi-Square.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researchers are using 'ISL' to pursu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nd 'Attitudes and Values' among the five performance indicators of 'GLO'. On the other hand, 'Skills' and 'Enjoyment, Inspiration and Creativity' appear to have the least expectations, so supplementation is required in these areas in the future.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 direction for informal science education-related program development and future research to various education workers.

한국어

비공식적 환경에서의 과학 교육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비형식 과학교육(ISL)과 그 영향에 대한 경향 분석 연구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ISL의 교육적 효과와 활용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 향후 ISL 연구 방향에 대한 지침을 주는데 있다. 이 연구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발표된 특정 ISL 관련 논문을 분류하고, 비형식 교육의 효과 측정에 사용되는 GLO의 각 요소와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된 자료는 SPSS, Chi-Square를 통해 부분별로 적합도를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들은 ‘GLO’의 5가지 성과지표 중 ‘지식과 이해’와 ‘태도 및 가치’를 추구하기 위해 ISL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기술’과 ‘즐거움, 영감 및 창의성’에는 가장 적은 기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향후 이러한 부분에서의 보완이 요구된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다양한 교육 종사자들에게 비형식 과학교육 관련 프로그램 개발과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Despite the importance of science education in an informal environment, the reality is thatthere is a
1. 서론
2. 문헌연구
2.1 ISL(Informal Science Learning)
2.2 GLO(Generic Learning Outcomes)
3.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연구방법
4. 결과
5. 실증분석
6.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조익형 Ig-Hyeng Cho.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학과 박사과정
  • 유연우 Yen-Yoo You.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학과 교수
  • 나관식 Kwan-Sik Na. 서원대학교 경영정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