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사회적 가치지향성과 해석수준에 따른 기부가능성

원문정보

Possibility of Donation according to Social Value Orientation and Construal Level

김선미, 최민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dentifies the impact of construal level on the possibility of donation according to an individual's social value orientation. For construal level, criteria such as message construal level, temporal distances, and social distances were applied. A total of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scenario techniques were used; and t-test and ANOVAwere used as analysismethods. Experiment 1 analyzed the message construal level according to social value orientation and the possibility of donation. As a result, people with social value–centered orientation were more likely to donate when messages about donation were presented at a higher level, while peoplewith personal value–centered orientationweremore likely to donatewhenmessages were presented at a lower level. Experiment 2 examined temporal distances according to social value orientation and the possibility of donation. As a result, people with social value–centered orientation were more likely to donate when the temporal distances for donation were greater, while people with personal value–centered orientationweremore likely to donatewhen the temporal distances were closer. Experiment 3 looked at social distances according to social value orientation and the possibility of donation. As a result, people with social value–centered orientation weremore likely to donatewhen the social distances for donationwere greater, while thosewith personal value– centered orientationweremore likely to donatewhen the social distances were closer.

한국어

본 연구는 개인의 사회적 가치지향성에 따른 해석수준이 기부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해석수준은 메시지 해석수준, 시간적 거리감, 사회적 거리감을 적용하였다. 총 3개의 실험을 진행하였고 시나리오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분석방법에는 t-test, ANOVA가 사용되었다. 실험 1은 사회적 가치지향성에 따른 메시지 해석수준과 기부가능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가치 중심성향의 사람들은 기부에 대한 메시지가 상위수준으로 제시되는 경우가 기부가능성이 더 높았으며, 개인적 가치 중심성향의 사람들은 하위수준으로 제시되는 경우가 기 부가능성이 더 높았다. 실험 2는 사회적 가치지향성에 따른 시간적 거리감과 기부가능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가치 중심성향의 사람들은 기부에 대 한 시간적 거리감이 먼 경우가 기부가능성이 더 높았으며, 개인적 가치 중심성향의 사람들은 시간적 거리감이 가까운 경우가 기부가능성이 더 높았다. 실험 3은 사회적 가치지향성에 따른 사회적 거리감과 기부가능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가치 중심성향의 사람들은 기부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먼 경우가 기부가능성이 높았으며, 개인적 가치 중심성향의 사람들은 사회적 거리감이 가까운 경우가 기부가능성이 더 높았다.

목차

요액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1. 해석수준 이론(Construal Level Theory)
2. 사회적 가치지향성과 해석수준
3. 사회적 가치지향성에 따른 메시지 해석수준과 기부가능성
4. 사회적 가치지향성에 따른 시간적 거리감과 기부가능성
5. 사회적 가치지향성에 따른 사회적 거리감과 기부가능성
III. 연구방법
1. 실험 1
2. 실험 2
3. 실험 3
4. 연구대상
IV. 실증분석
1. 실험 1의 분석결과
2. 실험 2의 분석결과
3. 실험 3의 분석결과
V. 결론
1.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선미 Kim, Sun-Mi. 부산외국어대학교 경영학과 강사
  • 최민철 Choi, Min-Cheol. 동아대학교 경영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