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국내외 변동성지수와 상장지수펀드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 KODEX200, KINDEX200, KOSEF200을 대상으로

원문정보

A Empirical Study on the Lead-lag Relationship between VIX, VKOSPI Volatility Indexes and Korean Exchange-traded funds : KODEX200, KINDEX200, KOSEF200

허지훈, 김기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ands the previous research that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volatility index and stock index to examine the dynamic impact between the US volatility index VIX, Korea's volatility index VKOSPI, and Korea's leading ETFs. In addition, we tried to analyze whether a specific variable has a price discovery function with respect to other variables. For the sample period of this study, daily data from January 1, 2009 to December 31, 2018 is used, andwhether the volatility index has predictive power for ETFs, howmuch time lag does it affect, and finally howmuch In order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the Grandeur causal analysis, shock response function analysis, and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which are representative inferencemethods of the vector autoregressivemodel (VAR), were performed.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Granger causal relationship tes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bidirectional lead-lag relationship between the US VIX, KODEX200, and KOSEF200 returns, and it was confirmed that VIX unilaterally leads KINDEX200. In the case of Korea's VKOSPI, unlike the results of VIX, the change in VKOSPI's return has a unilateral antecedent relationship with the return of KOSEF200, but rather, the return of KODEX200 and KINDEX200 leads unilaterally in relation to other exchange-traded funds. Second, if there is predictive power, the impact response function was performed to find out how much time lag it has. Regarding the shock of one unit of standard deviation of the index (VIX, VKOSPI), the returns of the exchange-traded funds (KODEX200, KINDEX200, KOSEF200) showed a strong negative response for 2 periods (2 days), indicating that the shock of the volatility index Consistent results have been presented that unilaterally affect fund returns. Finally, as a result of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to confirmhowmuch influence it has, it was found that the exchange-traded fund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volatility index, but the volatility index has a strong explanatory power for the returns of all exchange-traded funds. Confirming that, VKOSPI showed stronger explanatory power than VIX. The precedence and lag relationship due to the asymmetry of such information can help investors to establish an investment strategy using the US volatility index VIX and Korea's volatility index VKOSPI, but on the other hand, this is evidence ofmarket imperfection.

한국어

본 연구는 변동성지수와 주가지수 간의 관계를 살펴본 기존 연구를 확장하여 미국의 변동성지수 VIX, 한국의 변동성지수 VKOSPI와 KOSPI200 지수를 추종하도록 만들어진 국내 대표 ETFs 간 어떠한 동태적 영향을 가지는지와 특정 변수가 다른 변수에 대해 가격발견기능이 존 재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 기간은 2009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일별 자료를 이용하며, 변동성지수가 ETF에 대한 예측력을 가지는지와 어느 정도의 시차로 영향을 미치는지, 영향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벡터자기회귀모형(VAR)을 기반으 로 한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 충격반응함수 분석, 분산분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는,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에서는 미국의 VIX와 KODEX200, KOSEF200 수익률 사이에는 상호 양방향 선후행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KINDEX200에 대해서는 VIX가 일방적으로 선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의 VKOSPI의 경우에는 VIX의 결과와 달리 VKOSPI의 수익률 변화는 KOSEF200의 수익률에 대해서는 일방적인 선행관계를 가지나 다른 상장지수 펀드와의 관계에서는 오히려 KODEX200, KINDEX200 수익률이 일방적으로 선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는, 일방적 혹은 양방향의 선후행관계 가 존재한다면, 어느 정도의 시차 동안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충격반응함수를 이용한 분석 결과, 모든 변동성지수와 상장지수펀드 수익률은 자체의 충격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동성지수(VIX, VKOSPI) 표준편차 한 단위 충격에 대해서는 상장지수펀드 (KODEX200, KINDEX200, KOSEF200) 수익률이 2기간(2일) 강한 음(-)의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어 변동성지수의 충격이 상장지수펀드 수익률에 일방적인 영향을 주는 일관된 결과가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얼마만큼의 영향력이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분산분해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장지수펀드는 변동성지수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도출되었으나 변동성지수는 모든 상장지수펀드 수익률에 대한 강한 설 명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 VKOSPI는 VIX에 비해 더욱 강한 설명력을 보였다. 이러한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한 선후행관계의 존재는 투자자에 게 미국의 변동성지수 VIX, 한국의 변동성지수 VKOSPI를 활용한 ETF의 가격발견, 가격예측을 통한 투자전략 수립을 제시하는 한편 시장의 불 완전성을 나타내는 증거가 된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III. 연구 방법론
1. 자료의 수집
2. 연구 모형
IV. 분석결과
1. 기초통계량 분석
2. 단위근 및 공적분 검정 결과
3. 그랜저 인과관계검정 및 충격반응함수, 분산분해분석 결과
IV. 결론
1. 논의
2. 시사점
3. 한계점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허지훈 Heo, Ji Hun. 구미대학교 스마트경영과 교수
  • 김기근 Kim, Ki Keun. 대구한의대학교 바이오산업융합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