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주시 소재 도자공방 활성화 방안연구 - 한국공예관과 청주공예비엔날레와의 연계 가능성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of Ceramic Studio in Cheongju City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Connection between the Korea Craft Museum and Cheongju Craft Biennale -

이은주, 김승욱, 여화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dern society is enriching various content areas day by day, and interest in utilizing leisure time is also increasing. The government's work system has increased the leisure time of office workers and led to evening life. There is also growing interest in pottery activities as part of career exploration and emotional stability of students suffering from overheated academic studies and creative brain activity. In the past industrialization era, demand for ceramic products mass-produced in factories was the main reason, but the value of handcrafting is now increasing and demand for ceramic products in workshops is steadily increasing. This study was conducted on Cheongju City to study the status of pottery workshops and ways to revitalize the pottery culture, as ceramic workshops are adjacent to the active area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heongju citizens and the current status of ceramic workshops, the Cheongju Cultural Industry Foundation, and Cheongju Craft Biennale websites and related data collections were collected. Based on this, the government investigated ceramic-related support policy projects in Cheongju City and proposed ways to revitalize the ceramic workshop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in Cheongju City.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most of the ceramic workshops are operated in a single-person system, so the various roles of education,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ales of the workshops are different. It was difficult to handle alone.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facilitate communication with Cheongju-si institutions by expanding various channels of content, distribution, and sales and forming a network between workshops. Also, during the Cheongju Crafts Biennale with visitors to the cultural manufacturing window where the Korean Crafts Museum is located as a way to revitalize pottery workshops, it is necessary to produce promotional materials to guide local residents about the workshop program and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in the Cheongju support policy project.

한국어

현대 사회는 다양한 콘텐츠 영역이 하루가 다르게 풍부해지고 있으며 여가시간 활용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정부의 근로제도로 직장인들의 여가시간이 증가하며 저녁이 있는 삶을 지향하게 되었 다. 또한 진로탐색의 일환과 학업 과열에 시달리는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과 창의적 두뇌활동으로의 도 예활동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과거 산업화 시대에는 공장에서 양산된 도자제품의 수요가 주를 이 루었다면 현재는 수공예의 가치가 높아지며 공방의 도자제품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런 도예 활동과 수공예제품의 구매는 도자공방이 활동지역에 인접해 있음으로써 꾸준한 참여와 판매가 이어질 것으로 주변의 도예공방 현황과 도예문화의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기 위하여 청주시를 대상으로 본 연 구를 진행 하였다 청주시민의 특성 및 도자공방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청주시청, 청주문화산업재단 및 청주공예비 엔날레 홈페이지와 관련 자료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인터넷검색 및 협회 전시도록을 통해 청주시 소재 도자공방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청주시 관내 도자관련 지원정책사업 등을 조사하고 청주시 내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해 도자공방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에 도자 공방 대부분은 1인 체제로 운영되다 보니 공방의 교육, 제작, 유통, 판매의 다양한 역할을 홀로 감당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청주시 문화사업관련 기관들의 다양한 콘텐츠와 유통, 판매의 채널을 확대하고 공방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청주시 기관들과 상호소통의 원활함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도자공방의 활성화 방안으로 한국공예관이 있는 문화제조창을 방문하는 방문객들과 청 주공예비엔날레 기간 동안에도 각 공방 홍보물을 제작하여 지역민에게 공방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를 돕고 마지막으로 청주시 내 도자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청주시 지원정책사업의 참여를 독려함이 필요하다.

목차

개요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청주시 도자공방 현황
1. 청주시 특성 및 시민 여가생활 만족도
2. 청주시 도자공방 현황
Ⅲ. 청주시 도자공예사업현황
1. 청주시 한국공예관
2. 청주공예비엔날레
Ⅳ. 도자공방 운영자 심층인터뷰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은주 Lee, Eun-Ju.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도예학과 석사과정
  • 김승욱 Kim, Seung-Woog.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도예학과 교수
  • 여화선 Yeo, Hwa-Sun.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도예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