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began with the assumption that AIE(advertising in education) is being discussed in areas beyond advertising academia. To this end, papers were searched for all academic fields in Korea and analyzed the results. A total of 323 studies on AIE were found, including 109 academic journals and 214 degree papers. Since academic journals and degree papers differ in presentation process and format, basic meta-analysis was applied to analyze them together. As a result, both academic journals and degree papers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curriculum-related research, followed by language and culture-related research. Korean language and Art were high in detail,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was also a major subject in degree papers. Advertising utilization education is being practiced relatively actively in the field of actual education, but a systematic and continuous system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to support it. Therefore, a foundation is needed to serve as a platform for advertising utilization education such as overseas cases.
한국어
본 연구는 광고활용교육이 광고학계를 넘어선 영역에서도 광고활용교육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는 가정에서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의 모든 학문 분야를 대상으로 논문을 검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광고활용교육을 주제로 한 연구는 학술지 109편, 학위논문 214편 등 총 323편이 검색되었다. 학술지와 학위논문은 발표과정과 형식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이들을 함께 살펴보기 위해 기본적인 메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술지와 학위논문 모두 교과 관련 연구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언어와 문화 관련 연구가 뒤를 이었다. 세부적인 교과로는 국어와 미술의 비중이 높았으며, 학위논문 에서는 외국어교육도 주요 교과였다. 광고활용교육이 실제 교육현장에서 비교적 활발하게 실천되고는 있으나, 이를 체계적 이고 지속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시스템은 아직 구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해외사례와 같은 광고활용교육의 플랫폼 역할을 수행할 토대가 필요하다.
목차
서론
광고활용교육 실행 현황
1. 우리나라의 광고활용교육
2. 외국의 광고활용교육
연구방법 및 연구문제
1. 메타분석의 적용
2. 연구문제 설정
연구결과 및 분석
1. 광고활용교육 논문 연구영역별 현황
2. 광고활용교육 논문 교육대상별 현황
3. 광고활용교육 논문 광고유형 현황
4. 광고활용교육 논문 연구방법 현황
5. 학문분야와 전공분야, 교육기관 현황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