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술 콘텐츠 분야

리빙랩(Living lab)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원문정보

A Plan to Revitalize Culture and Art Education through Living Lab

김종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study of the living lab that has emerged recently. In the reality of improv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cities and changing cities, if the living lab is combined with culture and art education to provide convergence education, the culture that has been made in an individualized way Art can be more easily accessible to citize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Living Lab as a process, and to set and materialize the future direction by analyzing the cultural arts education that is currently in progress according to each area. Living Lab shows the practical process of sharing individual thoughts that have not been conceptualized and fragmented, or a ommunal life that cooperates with neighbors. In the history of human beings, there have been many things that communities cooperate to create, but recently, as individualism embedded in liberalism spreads, it is gradually disappearing. A sense of community should be formed as a living culture from home to school education. In order for the residents to enjoy local culture and arts, the spirit of participation and sacrifice in the community should be contained in their hearts. The Living Lab, which has recently started to spread, has the meaning of a living laboratory and is widely applied to local regeneration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shows that it can be sufficiently applied to culture and art. It is necessary to take an overview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system, to emphasize the harmonious operation of school education, private education, and public institution education where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provided, and to strengthen the public natur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citizen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irection of education, it was suggested that universality of school education, professionalism of private education, and the popularity of public institution education are emphasized, and that culture and arts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in terms of giving individuals a second opportunity in public institution education.

한국어

이 연구는 최근에 새롭게 등장하는 리빙랩 연구로 도시의 생활환경 개선과 도시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에서 리빙랩을 문화예술교육에 접목하여 융복합 교육으로 이루어진다면 그동안 개별화된 방식 으로 이루어져 왔던 문화예술에 시민들이 한층 더 쉽게 다가갈 수 있게 될 수 있다. 이 연구의 과정으로 서 리빙랩의 의미를 살펴보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을 영역별로 분석하여 나아갈 방향을 설 정하고 구체화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리빙랩은 그동안 개념화되지 못하고 파편화되어 있는 개인의 생각 이나 이웃과 협력하는 공동체적 삶을 함께 공유할 수 있다는 실천과정을 보여준다. 인간의 역사에서 공 동체가 협력하여 만들어가는 것은 과거에도 많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자유주의에 내포된 개인주의가 확 산하면서 점점 사라지고 있다. 공동체 의식은 가정에서 학교교육으로 이어져 생활문화로 형성하여야 한 다. 지역의 문화예술에 대한 주민들의 향유를 위해서는 공동체 사회에 대한 참여와 희생의 정신이 마음 속에 내포되어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최근에 확산하기 시작한 리빙랩은 생활실험실의 의미를 지니며, 지역 재생과 환경개선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문화예술에서도 충분히 접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문화와 예술교육 시스템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문화예술교육이 이루어지 고 있는 학교교육, 사설교육, 공공기관 교육의 조화로운 운영을 강조하고, 문화예술교육이 시민들에게 이 루어져 공공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교육의 방향성 분석을 통해 학교교육을 보편성, 사설교육은 전문 성, 공공기관 교육은 대중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 공공기관 교육에서는 개인에게 제2의 기 회부여 차원에서 문화예술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리빙랩을 통해 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한 교육 방안을 찾아보는 것에 중점을 둔다. 그동안 문화예술이 개인 중심의 전문성 교육 중 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최근에는 기관 중심의 프로그램을 통해 대중 중심으로 나아가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리빙랩을 통한 문화예술이 어떻게 활성화되어야 하고, 교육의 방향은 어떻게 이루어져 야 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방법과 내용
Ⅱ. 리빙랩이란 무엇인가?
2.1. 리빙랩
2.2. 문화예술 리빙랩
Ⅲ. 문화예술교육
3.1. 문화교육
3.2. 예술교육
Ⅳ.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향
4.1. 학교 교육
4.2. 민간(사설) 교육
4.3. 공공기관 교육
4.4. 리빙랩을 접목한 문화예술교육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종두 Jong-Doo, Kim. 서원대학교 교육학과 조교수 (Seowon Univ.)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