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간호

간호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관련 자기주도 학습능력 영향요인

원문정보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Related to Online Classes

이민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SDLA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online-class due to COVID-19.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5 nursing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online-class due to COVID-19 for more than one semester at a universit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surveys from November 18 to December 1, 2020. Factors tha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d on SDLA in nursing students were ‘use of emotion’ in emotional intelligence (β=.42, p <.001), ‘control’ in resilience (β=.28, p =.001), and ‘objectivity’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β=.27, p <.001), which accounted for 62.0% of the total variance. Research and intervention to improve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nursing students were constantly needed, and it is suggested that this be considered when producing educational contents.

한국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교육관련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해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 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COVID-19로 인해 한 학기 이상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 115명이며, 2020년 11월 18일부터 12월 1일까지 온라인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성지능의 하부요인 ‘감성활용’ (β=.42, p <.001), 회복 탄력성의 하부요인 ‘통제성’ (β=.28, p =.001) 및 비판적 사고성향의 하부요인 ‘객관성’ (β=.27, p <.001)이었고, 설명력은 62.0%이었다.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향상을 위한 연구와 중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교육 컨텐츠 제작시에도 이를 고려하기를 제언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도구
2.4 자료수집과 윤리적 고려
2.5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 감성지능, 회복탄력성 및 자기주도 학습능력
3.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주도 학습능력정도의 차이
3.4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 감성지능, 회복탄력성 및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 관계
3.5 대상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이민주 Min-Ju Lee. 영산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