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미용교육과정 인식과 진로교육 만족도, 진로결정 효능감 관계 연구

원문정보

Study of Relation Between Beauty Curriculum Awareness,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조명애, 리순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urveyed 289 beauty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beauty curriculum awareness,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The beauty curriculum was concentrated towards the hair major and technical education for license acquisition, and the career plans were high in employment and college entrance admission. In terms of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the beauty curriculum, nails and entrepreneurship were low (p<0.05, p<0.001), nails were low in career decision efficacy, and makeup and entrepreneurship was low in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p<0.01, p<0.05). The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was higher as the beauty curriculum awareness rises, and educato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The following areas had the positive influence for each section; the school operation and facility area for job information, the curriculum area for future planning and problem solving, and the educator area for self-evaluation (p<0.05, p<0.001, p<0.001).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urriculum in the majors of make-up, skin, and nails, and effective career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한국어

본 연구는 미용 고등학교 학생 289명을 대상으로 미용교육과정 인식과 진로교육 만족도, 진로결정 효능감의 관계를 설문 및 분석하였다. 미용교육과정이 헤어 전공, 자격증 취득 기능교육으로 편중되어 있었고 진로계획은 취업과 대학진학이 높았으며 미용교육과정 인식과 미용교육과정 만족도에서 네일과 개인창업은 낮게 인식하였고(p<0.05, p<0.001) 진로결정 효능감에서 네일은 낮게, 진로교육 만족도에서 메이크업은 낮게, 개인창업은 낮게 인식하였다 (p<0.01, p<0.05). 미용교육과정 인식이 높아질수록 진로교육 만족도가 높았고 교사는 진로교육 만족도에 정(+)의 영향 을 미쳤다. 운영 및 시설영역은 직업정보에, 교과과정 영역은 미래계획과 문제해결에, 교사영역은 자기평가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p<0.05, p<0.001, p<0.001). 따라서 메이크업, 피부, 네일 전공의 교육과정의 개선이 필요하고 효과적인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2.1 연구대상 및 일반적 특성
2.2 연구 도구 타당성 및 신뢰도 검정
2.3 분석방법
3. 연구결과 및 고찰
3.1 미용교육과정 및 진로교육 실태 조사
3.2 전공에 따른 미용교육과정 차이 비교
3.3 전공에 따른 진로교육 실태 차이 비교
3.4 진로계획에 따른 진로교육 실태 차이 비교
3.5 전공에 따른 미용교육과정 인식, 진로교육 만족도,진로결정 효능감 차이 비교
3.6 진로계획에 따른 미용교육과정 인식, 진로교육만족도, 진로결정 효능감 차이 비교
3.7 미용교육과정 인식, 진로교육 만족도, 진로결정효능감 사이에 상관관계 및 영향 분석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조명애 Myeong-Ae Cho.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석사
  • 리순화 Shun-Hua Li.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