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삼한·삼국시대 영남지역 4주식 방형계 주거지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Four-Column Typed Traces of Residence in Yeongnam Region Built During the Three Hans·Kingdoms Period

김나영, 이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four-column typed traces of residence means the place with four central indoor columns and these residential traces are mostly concentrated in Hoseo and Honam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r, where belonged to the Mahan and Baekje area in the past. Recently, the discovery of four-column typed traces of residence is increasing in the Byun·Jinhan, Gaya and Silla spheres too. Therefore, these residential traces need to be researched. This paper aims to examine structural attributes and types, dwelling patterns, distributions and localities of four-column typed traces of residence found in Yeongnam region built during the Three Hans·Kingdoms Period. To begin with, regions were classified into the eastern part, the western part, the central part of Yeongnam and the south coast to investigate the research status of data and the times. Then plane forms, column arrangements, furnaces, areas, wall ditches and drains that are major attributes of the four-column typed traces of residence were analyzed, and residential types were classified focusing on plane forms and column forms that have been especially found a lot. Plane forms were classified into a circular form(Ⅰ) and a square form(Ⅰ), and column forms were classified into a four-column form(a) and a four column+pilaster form(b)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re are wall column holes. Considering that four central columns were more installed in the square form than in the circular form, residential types were classified into A(Ⅱa) and B(Ⅱb) centering around square typed traces of residence. As a small sized house, the A(Ⅱa) type mostly preferred a fireplace style furnace near the pit-wall and had a higher installation ratio of wall ditch and drain, compared to the B type. On the contrary, the B type had a middle or large size and preferred a Gudeul style furnace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wall of the dwelling place. In relation to dwelling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A and B typed four-column residential traces in each region, most of A typed four-column residential traces are distributed in the western part of Yeongnam and the south coast, and it is supposed that these were influenced by the residential culture of Mahan and Baekje. On the other hand, most of B typed residential areas are distributed in the central part and the eastern part of Yeongnam, it is supposed that the dwelling patterns prevailed around this region. And judging from the 3rd-century data, these residential areas seem to be related to the Hoseo region rather than the Honam region.

한국어

4주식 주거지(四柱式 住居址)는 중심 4주식의 실내 기둥이 설치된 주거지를 말하며, 한반도에서는 주로 마한·백제 영역인 호서와 호남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최근에는 변·진한과 가야, 그리고 신라권역에서도 4주식 주거지의 확인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본논고는 영남지역의 삼한·삼국시대에 확인되는 4주식 주거지에 주목하여, 이 주거지의 구조 속성및 유형, 주거 양상, 분포 및 지역성 등을 검토하였다. 글 구성은 먼저, 영남 동부, 서부, 중부, 남해안으로 지역권을 구분하여 자료의 현황과 시기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4주식 주거지의 주요 속성인 평면 형태, 기둥 배치, 노시설, 면적, 벽구, 배수구를중심으로 검토해 보고, 이 가운데 확인 사례가 많은 평면 형태와 기둥 형태를 중심으로 주거 유형을분류하였다. 평면 형태는 크게 원형계(Ⅰ)와 방형계(Ⅱ)로 구분하고, 기둥 형태는 벽주혈의 유무에따라 4주식(a)과 4주+벽주식(b)으로 구분하였다. 원형계보다는 방형계에서 중심 4주식의 설치비율이 높다는 점에서 주거 유형은 방형계 주거지를 중심으로 설정하였으며, 크게 A(Ⅱa식)·B(Ⅱb 식)유형으로 구분하였다. A(Ⅱa식)유형은 주로 소형의 규모로 수혈 벽 가까이에 부뚜막식 노시설을 선호하였으며, B유형에 비해 벽구 및 배수구의 설치 비율이 높은 편이다. 반면, B유형은 중·대형 이상으로 규모가 크며, 주거지 벽가에서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설치된 구들식 노시설을 선호하였다. A와 B유형 4주식 주거지의 각 지역권별 주거 양상과 분포 양상 등을 살펴본 결과, A유형 4주식주거지는 주로 영남 서부와 남해안 지역에 분포권을 형성하고 있으며 마한·백제계 주거문화에서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B유형은 영남 중부 및 동부지역에서 주 분포권을 형성한다는점에서 당시 이 지역을 중심으로 성행했던 주거 유형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3세기 대 자료로 미루어보아 호남지역보다는 호서지역과의 관련성이 엿보인다

목차

국문요약
I.  머리말
II. 자료 검토
1. 지역권별 유적현황
2. 대상 유적의 시간적 위치
III. 주거지 속성 및 유형 검토
1. 속성 검토
2. 유형 검토
IV. 주거 양상 및 주변 지역 검토
1. 지역권별 4주식 주거 양상
2. 분포 양상 및 지역성
3. 주변 지역 검토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나영 Kim, Na-Young. 울산대학교박물관 연구원
  • 이진영 Lee, Jin-Young. 울산문화재연구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