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근대 중국과 한국에서의 ‘격치(格致)’ 개념 형성과 변화 과정

원문정보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Concept of “GYEOKCHI(格致)” in Modern China and Korea

허재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tarted with the aim of describing the process of forming and transforming the concept of the term “GYEOKCHI(格致)” that frequently appears in the process of forming modern studies in China and Korea. The term was originated from ‘GYEOKMULCHIJI(格物致知)’ in the head of the DAEHAK, but its meaning was u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imes. In particular, with the introduction of modern scholarship, which emphasizes experience and empirical research methods, a great change took place in the concept of traditional enthusiasm. In the case of China,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Western scholarship, there was a strong tendency to adhere to their own traditions, and Western missionaries dispatched to China for the purpose of whole school also took the same trend into account and adapted the traditional terminology to the situation in academic language translation. It seems to have been trying to do. In this trend, it seems that the transformation of China's concept of grueling influence had a certain influence on the process of forming modern Korean studies, and the concept of ‘GYEOKCHI’ for experience and empirical research and the concept of ‘GYEOKMUL(格物)’, which used to refer to the field of research on objects, gradually became interpreted as being changed from the discourse of the new and old studies to the term meaning ‘Western scholarship’ or ‘New Study’, and then replaced with academic words such as ‘Science’ and ‘Philosophy’. The summary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in modern China, “GYEOKCHI” began to be used as a concept to mean certain knowledge or research methods obtained through empirical examination after Mateorici. On the other hand, ‘GYEOKMUL(格物)’ was used as a concept to mean a research method or field for a substance. Second, even in the modern era of Korea, the concept of grueling has gradually changed to a concept that means a method of acquiring knowledge based on experience. Choi Han-gi used the concept of exertion as a conjecture based on senses and experiences. In addi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science after the port was opened, the concept of ‘GYEOKCHI’ acquired a similar meaning to ‘science’, which means experience and empirical research methods, and there were examples of using ‘GYEOKMUL’, which places importance on the subject of research, as the name of a sub-discipline. This term can be confirmed that the use of the term as an academic language has gradually weakened as the term ‘science’, which emphasizes experience and proof, or ‘philosophy’, which targets the reason of all things, is widely used.

한국어

이 연구는 중국과 한국의 근대 학문 형성 과정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격치’라는 용어의 개 념 형성과 변용 과정을 기술하는 데 목표를 두고 출발했다. ‘격치’는 대학의 수장(首章)에 등장하는 ‘격물치지’에서 유래한 말이지만, 시대에 따라 그 의미가 달리 사용되었다. 특히 경 험적ㆍ실증적 연구 방법을 중시하는 근대 학문이 도입되면서, 전통적인 격치의 개념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중국의 경우 서구의 학문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자신들의 전통을 고수하려는 경향이 강했으며, 전교 목적으로 중국에 파견된 서양 선교사들도 이와 같은 경향을 고려하여 학술어 번역에서도 전통적인 용어를 상황에 맞게 변용하고자 노력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흐름에서 중국의 격치 개념 변용은 한국 근대 학문 형성 과정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이며, 경험과 실증을 대상으로 한 ‘격치’와 사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 분야를 일컫던 ‘격물’ 개념이 점차 ‘신구학 대립’ 담론에서 ‘서구 학문’이나 ‘신학(新學)’을 뜻하는 용어 로 변용되다가, ‘과학’과 ‘철학’ 등의 학술어로 대체되어 간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첫째, 근대 중국에서의 ‘격치’는 마테오리치 이후 경험적으로 고증하여 얻은 일정한 지식 또는 연구 방법을 뜻하는 개념으로 쓰이기 시작했다. 이에 비해 ‘격물’은 물질을 대상으로 한 연구 방법이나 분야를 뜻하는 개념으로 쓰였다. 둘째, 한국의 근대에서도 격치의 개념은 경험 을 바탕으로 한 지식 습득의 방법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었다. 최한기는 격치 개념을 감각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 추측으로 사용했다. 또한 개항 이후 서구 학문이 도입되면 서 ‘격치’ 개념은 경험적, 실증적 연구 방법을 뜻하는 ‘과학’과 비슷한 의미를 획득하였으며, 연구 대상을 중시하는 ‘격물학’이 분과 학문 명칭처럼 사용된 예도 나타났다. 이 용어는 경험 과 실증을 중시하는 ‘과학’ 또는 만물의 이치를 대상으로 하는 ‘철학’이라는 용어가 널리 쓰이 면서 점차 학술어로서의 용법이 약화되기에 이르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근대 중국에서의 격치와 격물
3. 근대 한국에서의 격치 개념의 형성과 변용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허재영 Heo, Jaeyoung.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국어교육 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