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사이버비행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공격성의 이중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Their Cyber Delinquency

유연주, 전주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their cyber delinquency. This study used the data of 2,571 first graders in middle schools usi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Hayes (2013)'s PROCESS Macro was used to analyze dual mediated effect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yber delinquency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Cyber delinquency,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on the other hand, have negative correlations with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This shows that adolescents’ cyber delinquency is closely related to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in terms of personal emotions as well as to family environmental factors. Second, there were full du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cyber delinquency. Social withdrawal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cyber delinquency, and so did aggression. This shows that cyber delinquency can be reduced by reducing adolescents' social withdrawal (behavior that avoid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r social interactions) and aggression.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serve as a basis f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interventions that can improve positive peer relationships and alleviate aggression at school and youth counseling sites to prevent cyber delinquency among adolescents. In particular, interventions such as education, counseling programs, and coaching are first required for adolescents with high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to build positive peer relationships and improve interaction skill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사이버비행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공격성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는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8(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의 중학교 1학년 2,571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연구자료는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사이버비행, 부모양육태 도, 사회적 위축과 공격성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부모양육태도는 사이버비행, 사회적 위축, 공격성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사이버비행, 사회적 위축, 공격 성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청소년의 사이버비행이 가정환경 요인뿐 만 아니라 개인 정서 측면의 사회적 위축과 공격성과도 상호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부모양육태도와 사이버비행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공격성 의 완전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부정적 일수록 사회적 위축이 높아지고, 사회적 위축이 높을수록 공격성도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공격성이 높을수록 사이버비행 가해 경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대인관계나 사회적 상호작용을 회피하는 행동)과 공격성을 감소시키면 사이버비행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사이버비행을 예방하기 위해 학교 및 청소년 상담 현장에서 긍정적인 또래관계 형성과 공격성을 완화시킬 수 있는 교육 및 심리적 개 입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한다. 특히, 사회적 위축 및 공격성 성향이 높은 청소년을 대 상으로 긍정적인 또래관계 형성 및 상호작용 기술향상을 위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 램, 코칭 등의 개입이 우선 요구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유연주 Yu Yeonju.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교육심리전공 석사
  • 전주성 Jun JuSung. 숭실대학교 평생교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