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향약과 사학을 통한 왕양명의 향촌거버넌스(鄕村治理之道)의 정치철학적 의미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Wang Yang-ming’s Political Philosophy of Local Governance

김현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1990s, as interest in local governance grew in China, Wang Yang-ming’s in pro-people thought and political practices through the village code and local schools. Yang-ming’s pro-people thought is distinct from the interpretations of Confucian scholars in Song dynasty, such as Zhuxi(朱熹) and Chengyi(程頤), who understood ‘pro-people’(親民) as ‘new people’(新民). Yang-ming also wanted to inherit and teach as Confucian scholar in line with them, but it is unique in that he supported practical Confucianism, which allowed people to realize their own “liangzhi(良知)” and correct their customs by themselves. It is not necessarily the same as modern governance, but it is of modern significance in that it pursued governance that can be realized in people’s lives, not just remained as pedantic and impractical studies appropriated by intellectuals and bureaucrats.

한국어

1990년대 중국에서 향촌거버넌스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왕양명의 향약과 사학을 통한 친민사상에 대한 관심이 생겨났다. 이런 맥락에서 남감향약과 사학을 통한 풍속 교화라는 왕양명 정치적 실천의 근본정신인 친민사상을 다시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왕양명의 친민사상은 『대학』의 ‘친민(親民)’을 ‘신민(新民)’으로 바꾸어 이해한 주희나 정이 등 송대 유학자들의 해석과는 구별된다. 왕양명 또한 유학자로서 성인의 학문과 가르침을 계승하고자 한 것은 그들과 맥을 같이 하였지만, 향약과 사학을 통해 백성들이 스스로의 양지(良知)를 깨닫고 스스로 그들의 풍속을 바로잡도록 하는 실천적 유학을 지지하였다는 점에서 그 특색이 있다. 그것은 서구의 현대적 거버넌스와는 반드시 같다고 할 수는 없지만, 지식인과 관료들만의 공리담론적 유학이 아니라 백성들의 삶 속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하는 거버넌스를 추구했다는 점에서 그 현대적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목차

논문요약
Ⅰ. 들어가며
Ⅱ. 남감향약(南贛鄉約)
Ⅲ. 사학(社學)을 통한 향촌(鄕村)의 교화
Ⅳ. 명명덕(明明德)와 친민(親民)
Ⅴ. 글을 맺으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현주 Kim, Hyun-ju. 원광대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HK+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