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연복자 추출물의 Phenolic acids와 Flavonoids의 조성 및 화장품 항산화 활성

원문정보

Composition of Phenolic Acids and Flavonoids and Skin Care Cosmetic Antioxidant Activity of Akebia quinata Fruit Extracts

장아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using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s for skin beauty,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some phenolic acid and flavonoids in the hot water and 80% methanol extract of Akebia quinata fruit pericarp and seeds were analyzed, and the skin care antioxidant activity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found to be higher in pericarp extract than seed extract in both hot water and 80% methanol extract. In the analysis of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phenolic acid and flavonoids, two kinds of phenolic acids were identified in the hot water extract of pericarp, 6 kinds of phenolic acids were identified in the 80% methanol extract, and one kind of flavonoid. Two types of phenolic acids were identified in the hot water and 80% methanol extract of seeds, respectively.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ended to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treatment concentration in both hot water and 80% methanol extracts, and antioxidant activity was found to be high. Therefore,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hot water and 80% methanol extract of Akebia quinata fruit pericarp and seeds contained various kinds of phenolic acid and flavonoids,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also high. It is believed to be of value as a natural antioxidant in skin care cosmetic ingredients.

한국어

이 연구는 연복자의 열수와 80%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총 polyphenol과 flavonoid의 함량과phenolic acid와 flavonoid의 조성 및 함량을 분석하고, 이 추출물에 대한 일부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므로 스킨케어 기능성 화장품으로 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총 polyphenol과 flavonoid 함량은 열수와 80% 메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과피 추출물이 씨앗 추출물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henolic acid는 열수 추출물에서 2종, 80% 메탄올 추출물에서 6종이 확인되었다. Flavonoids는 열수 추출물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80%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1종이 확인되었다. 또한 연복자의 열수와 80%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조사한 결과, DPPH와 ABTS의 라디칼 소거능은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 연복자의 열수와 80% 메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고, 항산화 활성이 확인되어 피부관리를 위한 기능성 화장품 성분원료 및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2.1 시료추출 및 조제
2.2 총 polyphenol과 총 flavonoid 함량
2.3 Phenolic acid와 flavonoid 조성과 함량 분석
2.4 항산화 활성 평가
3. 결과 및 고찰
3.1 총 polyphenol 및 flavonoid 함량
3.2 Phenolic acid와 flavonoids의 조성 및 함량
3.3 항산화활성 평가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장아람 Ah-Ram Jang. 서경대학교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