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업비밀 침해에 대한 형사적 규제 실태 연구 – 처벌의 확실성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rend of Criminal Sanctions against Infringement of Trade Secret : Focusing on the certainty of punishment

이장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s in rulings on cases of infringement of trade secrets and to present measures to enhance the certainty of punishment.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trends can be confirmed as a result of obtaining and analyzing the entire first trial judgment of the trade secret infringement case over the past three years: First, the proportion of probation for prison sentences was exceptionally high. Second, due to the application of strict standards for trade secrets, the acquittal rate of business secrets infringement cases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criminal cases. Third, more than half of the corporations were not indicted despite being subject to employer punishment provisions. The above results confirmed that the certainty of punishment for violating trade secrets is very low. Based on these results, criminal justice improvement measures to enhance the deterrence effect of violation of trade secrets shall be proposed as follows: First, the recommended sentence of the sentencing standards for violations of trade secrets shall be raised as soon as possible. Second, it is imperative that front-line judges change their perception of the seriousness of the violation of trade secrets. Third, it shall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take into account the normal circumstances only based on the factors specified in the sentencing standards. Fourth, investigative authorities need to establish predictable and clear standards of punishment for employers.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영업비밀의 침해사건에 대한 판결 동향을 분석하고, 처벌의 확실 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최근 3년간 영업비밀 침해사건의 제1심 판결문을 전량 입수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징역형에 대한 집행유예의 비중이 파격적으로 높았다. 둘째, 영업비밀에 대한 엄격한 기준의 적용으로 인해 영업비밀 침해사건의 무죄율이 일 반 형사사건들에 비해 훨씬 높았다. 셋째, 양벌 규정에 의해 처벌되는 대상임에도 불구 하고 기소되지 않은 법인이 절반 이상이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통해 영업비밀 침해 범죄에 대한 처벌의 확실성이 매우 낮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영업비밀 침해범죄에 대한 억제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형사사법적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업비밀 침해범죄에 대한 양형기준의 권고형량을 조속히 상향 조 정하여야 한다. 둘째, 영업비밀 침해 범죄의 심각성에 대한 일선 법관들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양형기준에 적시된 요소만을 기준으로 정상참작 여부를 판단하여야 하겠다. 넷째, 수사당국에서는 예측 가능하고 명확한 양벌규정의 적용 기준을 마련하기를 권고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영업비밀 침해에 대한 형사규제 현황 분석
Ⅳ. 연구결과의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장욱 Lee, Jangwook. 울산대학교 경찰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