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iscuss the prerequisites for the applic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Open High School(OHS). A needs analysis was conducted on teachers in 42 OHS to identify perception, needs, and requirements to implement the credit system. Among the sample of 168 teachers, 137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4 teachers were selected for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based on the experience of working in Open High School. The findings reveal the following: First,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consented to reduce the minimum credit requirement for graduation by about 20%, which conforms to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guideline. Second, teachers of OHS had negative perceptions towards the applic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OHS,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full-time teachers and the diverse student population. Third, the revised version of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should ensure flexibility of the OHS curriculum along with the specific criteria for course completion. Forth, Recognition of Prior Learning(RPL) in OHS should be maintained after the transition. Several implications are drawn from the study: First, the modes of school operations as an affiliated school of public high school should be reconsidered. Second, RPL in OHS should be maintained, although steps should be taken to revise and improve the system. Third,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OHS, a more gradual phase-in of the credit system is needed. Lastly, the operation of the credit system in OHS should reflect the advantages of online educ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방송통신고등학교(이하 방송고) 교원들의 고교학점제 도입에 관한 요구를 파악 하여 방송고에서의 고교학점제 운영 전략 및 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시사점을 탐색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전국 방송고 42개교의 교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137명의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방송고 근무 경력 및 연구학교 운영 경험을 바탕 으로 4명의 교사를 선정하여 추가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방송고의 고교학점제 도입 에 관한 요구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송고 졸업 최소 이수 단위를 일반고의 80% 수준으로 설정하는 것에 대해 대부분의 교원이 동의하였다. 둘째, 방송고 교원들은 방송고에 서의 고교학점제 도입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교원 겸직 체제와 같은 방송고 운영의 특수성, 다양한 학습자 구성 등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교육과정이 개정될 경우 방송고 교육과정 운영의 융통성 및 재량권이 확보되어야 하고, 교과 별 이수 기준 및 평가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이 제시되었다. 추가적으로 방송고에서 운영되고 있는 학습경험인정제가 고교학점제에 잘 흡수되어 운영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 시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송고에 고교학점제 도입 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현재 부설체제로 운영되고 있는 방송고 운영체제의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둘째,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습경험인정제 제도 정비 및 운영 개선 방안을 마련해 야 한다. 셋째, 방송고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방송고에서는 고교학점제를 단계적으로 시행하는 방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넷째, 방송고의 교육방법 중 하나인 원격수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고교학점제 적용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고교학점제의 이해
2. 고교학점제 관련 선행연구
3. 방송고의 이해
Ⅲ. 연구 방법
1. 설문조사
2. 면담조사
Ⅳ. 연구 결과
1. 방송고 이수 단위 및 학점에 대한 인식
2. 고교학점제에 대한 인식 및 요구
3.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요구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