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별세션 - 인공지능 시대의 예술작품: 창의적 신경 적대망, 생성적 적대 신경망, 데이터/정보

홍상수 영화의 비결정적 시학 - <클레어의 카메라> (2017)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Poetics of the Undecidability of Hong Sang-Soo’s Film - <Claire’s Camera> (2017)

장미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ong Sang Soo’s , produced in 2017, is a film which conceptualizes ‘differences’. Jeon Man-Hee (Kim Min-Hee) revoked the situation related to her dismissal. The duality of the virtual image and the actual image is prominently presented in this film. This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lm as a film with time images. The film show differences not induced by similarity of events but by the difference itself. This paper analyzes the undecidability of the crystal image, which is a concept of Gilles Deleuze. The intervals between images have non- causal characteristics and, accordingly, the story is not integrated into chronological time as a whole. The crystal image of this film shows the temporality of Aion, the concept of time in Deleuze's philosophy. Hong Sang-Soo is breaking up the continuity of the story by way of arrangement rather than branching or break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repetition, in which little narratives are arranged and varied, presents a liberated temporality that escapes from how linear time flows in one direction. Each scene appears to be similar to the previous one, but each is arranged at non-organic intervals that emphasize the difference. As a result, there is an ambiguous temporality that cannot be discerned, whether true or false, past or present. This temporality draws attention not to the same repetition or reproduction of scenes but to the differences between irregularly repeated and varied scenes. In conclusion, the crystal image shows pure events through the expression of Aion, not a representation of Chronos, allowing the spectator to see the differences in the intervals between scenes. In addition, Hong Sang-Soo lets the audience experience a time of liberation through the undecidability of the narrative.

한국어

홍상수 감독의 2017년 영화 <클레어의 카메라>는 ‘차이’에 대해 사유하는 영화다. 주인공 전만희 (김민희 분)는 자신의 급작 스러운 해고와 관련해 사건을 천천히 복기한다. 이 영화에는 잠재태적 이미지와 현실태적 이미지의 이중화된 이미지가 두드 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 영화는 유사성에 의해 판단되는 차이가 아니라, 차이 그 자체를 보여준다. 이 논문은 질 들뢰즈의 시간-이미지의 관점에서 이러한 결정체 이미지의 시간성에 대해서 분석했다. 이미지들 사이의 간격이 비인과적이기 때문에 이야기는 전체 즉, 연대기적인 시간으로 통합되지 않는다. 이 영화의 결정체 이미지는 들뢰즈 철학의 시간 개념인 아이온의 시간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홍상수 감독은 이야기의 연속성에 분기나 단절이 아니라 배열의 방식으로 균열을 일으키면서 이 전 시기와 달라진 차이를 보여준다. 작은 이야기들을 배열하고 변주하는 반복의 서사 구조는 일 방향으로 흘러가는 선형적 시간에서 벗어나는 해방된 시간성을 나타낸다. 각각의 장면은 앞에서 이미 나온 장면과 유사해 보이지만 차이를 강조하는 비 유기적인 간격으로 배열되었다. 그로 인해 전체적으로 참, 거짓이나 과거, 현재를 식별할 수 없는 모호한 시간성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시간성은 관객이 장면의 동일한 반복이나 재현이 아니라, 불규칙하게 반복, 변주된 장면들 사이의 간격에서 차 이, 그 자체를 보게 한다. 결론적으로 홍상수는 서사의 비결정성을 통해서 관객이 해방된 시간을 경험하게 한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1.1. 연구 배경
1.2. 연구방법
2. <클레어의 카메라>의 결정체 이미지 분석
2.1. 결정체 이미지란 무엇을 말하는가?
2.2. <클레어의 카메라>의 결정체 이미지가 현시하는 비연대기적 시간
3. 결정체 이미지의 해방된 시간, 아이온
3.1. 영화의 서사가 요구하는 문제를 ‘자세히 보기’
3.2. 표현을 지향하는 해방된 시간으로서 아이온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장미화 Jang Mi Hwa.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네르바 교양대학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