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ed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to look through the history of computer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the next version of national curriculum. The government recently presented the guideline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to the national curriculum ahead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W education and AI education should not be in a different type of education but be organized in the framework of computer education because they share a problem-solving process through computer programming. The students could enhance their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through SW and AI education based on the ICT literacy.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society should be considered in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It should be also constructed in connection with the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suggested as a required skill. This suggested hierarchical curriculum for computer education would be helpful for the national education system to enhance the future skill for elementary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교육과정의 총론과 정보관련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정보교육의 흐 름을 살펴보고 교육과정 편성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최근 정부에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앞두고 인공지 능교육을 국가수준교육과정에 도입하기 위한 지침을 발표하였다. 현행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SW교육과 AI교육은 서 로 다른 형태의 교육이 아니라 정보교육이라는 틀에서 편성이 되어야 하며 프로그래밍을 통한 문제해결의 과정이라 는 공통점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초등학교 정보교육에서는 ICT소양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함으로서 SW교육과 AI 교육의 기틀을 마련함과 동시에 교과별 정보기반교육을 위한 기초소양을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차기 개정교육과정 에서는 정보화사회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으로서 정보화의 내용을 반영하고 현행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식정 보처리역량과 연계하여 총론이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보통교육으로서 정보교육을 추구하여 공교육을 강화하고 사교 육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학교급별 위계가 고려된 체계적인 정보교육의 교육과정이 편성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 분석
2.1. 정보교과 편성의 필요성과 방향
2.2. 정보교육의 교과편성의 법적지지 근거
3.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4. 시기별 초등학교 정보교육 교육과정 편성
4.1. 제5차 교육과정의 시기(1987년)
4.2. 제6차 교육과정의 시기(1992년)
4.3. 제7차 교육과정의 시기(1997년)
4.4.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시기(2007년)
4.5.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시기(2009년)
4.6.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시기(2015년)
5. 학교급별 정보교육 국가수준 교육과정
6. 초등 정보교과 교육과정 편성의 방향
7.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